한·미·일 북핵 해법 모색

중앙일보

입력

북한 핵문제 해결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한.미.일 3국 및 국제원자력기구(IAEA)의 협의가 이번주에 본격적으로 이뤄진다.

정부는 6~7일(현지시간) 워싱턴에서 미.일 양국과 외무 차관보급 대북정책조정감독그룹(TCOG)회의를 열어 북한의 고농축 우라늄을 이용한 핵개발 계획 폐기와 핵시설 재동결 방안을 집중 논의할 예정이다.

우리 측은 이 회의에서 북한의 핵개발 계획 포기와 핵시설 재동결을 전제로 미국이 문서로 북한의 체제를 보장해주고, 중유 공급도 재개하는 방안을 제시할 것으로 알려져 미국 측의 대응이 주목된다.

정부는 TCOG 회의와 별도로 임성준(任晟準)청와대 외교안보수석을 미.일 양국에 파견키로 했다.

任수석은 7~9일 워싱턴을 방문, 콘돌리자 라이스 백악관 안보보좌관과 국무부 고위 인사 등을 만나 핵문제 해결 방안을 논의한 뒤 10~11일 도쿄(東京)에 들러 일본 정부 고위 인사들과 면담한다.

박선숙(朴仙淑)청와대 대변인은 이와 관련, "우리는 북한 핵문제의 당사자"라면서 "당사자로서 미.일과의 공조를 통해 북한 핵문제의 해법을 찾고자 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이에 앞서 김항경(金恒經)외교통상부 차관은 5일 모스크바에서 알렉산드르 로슈코프 러시아 외무차관 등과 회담하고 북한의 핵포기를 위한 러시아 측의 협조를 요청했다.

한편 IAEA는 6일 빈에서 특별 이사회를 열고 ▶북한 핵개발 계획 포기▶핵시설 봉인 제거.감시카메라 작동 불능 조치의 원상 복구▶핵사찰 수용을 요구하는 대북 결의안을 채택한다.

IAEA는 그러나 북핵 문제의 유엔 안보리 회부를 일단 보류하고 북한 측에 한달의 유예기간을 줄 것이라고 미국 NBC 방송이 보도했다.
워싱턴=김진 특파원, 서울=오영환.박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