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동 연장 논란’ 원전] 본부장 바뀔 때마다 지원 약속 안 지켜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경제 04면

월성 1호기에 대한 주민 불신은 깊다. 직접적 이해 당사자는 경주시 양남면·양북면·감포읍의 2만여 명이다. 원전 소재지인 양남면에선 이미 ‘반대 대책위원회’가 꾸려졌다. 대책위 실무 팀장인 이상춘(신대리 이장·사진)씨를 만났다.

 -계속운전에 반대하는 이유는.

 “수소 발생으로 위험에 노출될 수 있다. 요즘 깻잎 하나 사먹어도 무공해 제품을 찾는다. 누가 월성 원전 근처에서 살겠느냐.”

 -해법은 없나.

 “신뢰 회복이 먼저다. 예컨대 경주의 방사성폐기물처리장을 보자. 정부가 지정하면서 수만 가지 지원을 약속했다. 하지만 실행한 건 20%뿐이다. 정권이 바뀌면 ‘내 일이 아니다’ 하고 신경을 안 쓴다. 한수원은 그 뒤에 숨어 눈치만 본다.”

 -계속운전은 주민 지원이 아닌 기술적 안전성으로 판단해야 하는 것 아닌가.

 “기술적 부분뿐 아니라 다른 부문까지 신뢰가 쌓여야 한다. 이번엔 운전자 교육 못해서 고장 나고, 그동안 한수원이 각종 납품 비리 등에 연루되는 걸 봐라. 기술이 좋아도 운영자가 제대로 관리하지 못하면 얼마든지 큰 사고가 터진다.”

 -구체적 해법 실마리는 뭔가.

 “고리 1호기 경우처럼 지역과 상생하는 방안이 필요하다. 우리도 행복추구권이 있다. 10대째 여기 사는데 조상이 물려준 재산을 제대로 행사하지 못한다. 자고 나면 땅값이 떨어진다. 한수원에만 맡기지 말고 정부가 나서야 한다. 여긴 아이들 학교도 미비하고 큰 병원도 없다. 전력난으로 원전 폐쇄가 어렵다면 차라리 신규 원전을 지어라.”

 -주민 반대에도 계속운전이 승인되면.

 “우리 의사를 무시하고 허가하면 ‘강한 저항’이 있을 것이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