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브라이트·라이스·클린턴 그 후… 미 국무장관 ‘여인시대’ 계속될 듯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4면

“남성들이 힐러리 클린턴만큼 국무장관직을 잘 소화해낼 수 있을까.”

 미국 외교 전문지 포린폴리시(FP)가 25일(현지시간) 게재한 기사에서 이 같은 질문을 던졌다. FP는 1997년 여성으로선 처음으로 국무장관직에 오른 매들린 올브라이트 이후 콘돌리자 라이스·힐러리 클린턴까지 여성 국무장관의 활약상을 그리며 “전통적으로 남성들이 차지해온 미 외교 정책 분야 수장 자리에 이제는 남성들이 뚫을 수 없는 ‘유리 천장 위의 유리 천장’이 생겼다”고 전했다. 최근 15년간 콜린 파월이 재임한 4년(2001~2005년)을 제외하면 미 국무장관 자리는 여성 전용석이었다.

 FP는 외교 분야에서 여성이 뛰어난 기량을 발휘하는 이유로 “활발한 활동에도 지치지 않는 끈기”를 꼽았다. 클린턴 장관은 지난주 14일 일정으로 아시아·태평양 6개국 순방을 마쳤다. 이로써 클린턴이 취임 후 방문한 나라는 110개국이 됐다. 토머스 제퍼슨 이후 67명의 역대 국무장관 가운데 가장 많은 국가를 방문한 것이다. 이전 최고 기록은 올브라이트 장관의 98개국이다. 라이스 장관은 4년간 85개국을 다녔지만 170만㎞(지구 40바퀴)를 이동해 144만㎞를 돌아다닌 클린턴보다 거리 기준으론 우위를 기록했다.

 여성 장관의 또 다른 강점은 ‘스타성’이다. FP는 “클린턴은 록스타 못지않은 인기와 유명세를 떨친다”며 “퍼스트 레이디 경험 덕분에 세계 어디에 가도 누구나 그를 알아본다는 점이 클린턴의 강점”이라고 분석했다. FP는 또 “어떤 남성도 뱀 브로치를 착용해 사담 후세인의 기를 죽인 올브라이트의 ‘브로치 외교’를 흉내 낼 수 없고 엘리자베스 영국 여왕 앞에서 피아노를 연주한 라이스의 ‘피아노 외교’를 따라 할 수는 없을 것”이라고 평했다.

 또 세 여성 장관이 감성적인 지능이 뛰어나며 협상 테이블에서 개별 국가 문화에 기반한 대화를 이끌어내는 데 능하다는 점을 장점으로 들었다. FP는 “이번 대선에서 밋 롬니 공화당 후보가 당선된다면 그의 전통적 가치관에 따라 남성 국무장관을 지명할 것 같다”며 “그렇지 않다면(오바마가 재선에 성공하면) 여성 국무장관 시대가 계속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