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만원에 땀 흘리는 행복 우리 마을 스포츠센터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5면

서울 강남구 개포동에 사는 회사원 김형진(38)씨는 며칠 전까지 런던 올림픽을 시청하느라 밤잠을 설쳤다. 그는 우리 대표팀의 선전에 자극받아 수년간 접었던 운동을 다시 하기로 마음먹었다. 적당한 운동시설을 찾던 중 인근 수서동에 있는 구립 강남스포츠문화센터의 홈페이지를 검색해 보고는 깜짝 놀랐다. 체육 강좌가 220개나 됐기 때문이다. 김씨는 “이처럼 다양한 체육 프로그램을 저렴한 가격에 이용할 수 있다니 놀랍다”며 “센터에 있는 골프연습장이나 수영장에서 열심히 땀을 흘려 볼 생각”이라고 말했다.

 런던 올림픽을 계기로 운동시설을 찾는 사람이 늘고 있다. 특히 각 구청이 직접 운영하는 구립 체육시설이 큰 인기를 끌고 있다. 수영장과 헬스장·골프연습장·스쿼시장 등 크고 다양한 시설을 갖추고 있는 데다 프로그램이 많기 때문이다. 민간시설에 비해 이용료가 저렴한 것도 강점이다. 일부 구립 체육시설에서는 무료로 셔틀버스를 운영하기도 한다.

 강남구가 운영하는 강남스포츠문화센터는 총면적 9914㎡(지상 4층, 지하 2층)로 체력단련기구 96대를 갖춘 헬스장을 비롯해 수영장·골프연습장을 구비하고 있다. 입회비는 성인 1만원, 청소년·어린이는 7000원이다. 센터 관계자는 “하루 최대 6000명까지 이곳 시설을 이용할 수 있다”며 “복싱다이어트 프로그램 등 다양한 강좌가 마련돼 이용자의 만족도가 높다”고 말했다.

 강북 지역에선 중구가 운영 중인 충무아트홀 스포츠센터의 인기가 높은 편이다. 2005년 문을 연 이 센터에는 성인풀(8개 레인)과 유아풀(3개 레인) 등 모두 11개 레인을 갖춘 수영장이 있다. 골프연습장은 실내 19타석과 실외 18타석으로 구성돼 있다. 매달 100~140개의 스포츠 프로그램을 운영하며 하루 평균 1500명이 이용한다. 낙성대에 자리한 관악구민종합체육센터에서는 유아스포츠단을 운영한다. 수영·발레·댄스 등 다채로운 영·유아용 프로그램이 특징이다.

 체육시설 보수와 추가 확충에 나서는 구청들도 있다. 성북종합레포츠타운(석관동) 등을 운영하는 성북구는 인공암벽장과 배드민턴 시설을 새로 만들 계획이다. 동작구는 이달 초 상도3동 주민센터의 ‘로야헬스클럽’을 ‘상도스포츠클럽’으로 변경했으며 헬스시설 외에 요가 등 다른 프로그램을 추가 가동할 예정이다. 구립 체육시설은 거주 구민이 우선 이용 대상이지만 일부 시설은 다른 구 거주자에게도 개방한다.

 정광현 서울시 체육진흥과장은 “서울시 체육정보 포털사이트에 들어오면 구립 체육시설들의 프로그램을 다 검색할 수 있다”며 “구립 체육관이 시민에게 적합한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도록 지원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