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이 과거사에 대해 소극적이라 행동 보여줄 필요 느껴 독도 방문”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4면

이명박 대통령은 10일 독도행에 대해 “과거사에 대한 일본의 소극적 태도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이 대통령은 13일 청와대 상춘재에서 강창희 국회의장, 이병석·박병석 국회부의장과 상견례를 하면서 이병석 부의장이 “독도 방문은 참 잘한 일”이라고 하자 다음과 같이 말했다고 박정하 청와대 대변인이 전했다. “굳이 갈 필요가 있느냐는 의견도 있었지만 지난해 12월 교토에서 (한·일 정상회담 때 노다 요시히코 일본 총리가) 오히려 ‘소녀상을 철거하라’고 얘기해 한 시간 동안 설득한 적이 있다. 일본과 같은 대국이 마음만 먹으면 풀 수 있는데 일본 내 정치문제로 인해 소극적인 태도를 보여 행동으로 보여줄 필요를 느꼈다.”

 이 대통령은 10일 독도에 함께 간 동행자들에게 “일본이 나쁜 전쟁을 일으키고 진심으로 사과해야 하는데 그러지 않으니 응어리가 안 풀리는 것이다. 독일은 제2차 세계대전 후 진심으로 사과하니까 그런 문제가 없다”고 말했다고 한다. 독도행을 영토 문제뿐 아니라 과거사 문제로도 연결시킨 셈이다.

 8·15 광복절 경축사에서도 독도를 직접 거론하진 않지만 과거사에 대해선 분명한 목소리를 낼 것으로 보인다. 특히 그간 8·15 경축사에서 직접 언급하지 않았던 일본군 위안부 문제를 적시한다고 한다. 이 대통령은 지난 3·1절 기념사에서도 “군대 위안부 문제만큼은 여러 현안 중 조속히 마무리해야 할 인도적 문제”라고 했다.

 이 대통령은 이날 “3년 전부터 (독도행을) 준비했다. 지난해에도 독도 휘호를 갖고 가려고 했는데 날씨 때문에 가지 못했다. 이번에 주말인 토·일요일에 가서 자고 오려고 했는데 날씨로 인해 당일 갔다 왔다”고 말했다. 일본의 격앙된 반응에 대해선 “예상했던 것”이라며 “국제사회에서 일본의 ‘영향력’이 예전 같지 않다”는 말도 했다.

 한편 이 대통령의 독도 방문 이후 민주통합당은 여러 차례 대변인 논평을 내고 “우리나라 영토를 방문했다는 점에서 원론적으론 문제가 없으나 깜짝 이벤트 성격이 강하고 전략적인 문제도 있다”고 지적했다. 다만 이해찬 대표와 박지원 원내대표는 공식적인 반응을 일절 내놓지 않고 있다.

민주당의 한 당직자는 “사안의 중요성을 봤을 때 대표와 원내대표가 이 문제를 언급하는 게 맞지만 광복절을 앞둔 시점에 독도 방문 자체를 비난하는 것이 자칫 역풍을 불러일으킬 수 있어 조심스럽게 대응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고 말했다. 반면 우상호 최고위원은 13일 라디오 방송에서 “일본의 독도 분쟁지역화 의도에 말려들 수 있다는 점에서 대통령의 직접 방문은 현명하지 못했다”고 비난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