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 남산서 기와가마터 발견

중앙일보

입력

경북 경주시 남산에서 6세기대의 삼국시대 기와가마터가 처음으로 발견됐다.

위덕대학교 박물관 학술조사단 (단장 金武生교수)
은 23일 "지난 달 남산 장창골 천은사터 바로 동쪽에서 채집된 암막새.수막새 등 1백여점의 기와들을 분석.검토한 결과 이곳이 경주에서 가장 오래된 기와가마터중의 한 곳으로 확인됐다" 고 발표했다.

경주시 탑동 887-1번지 등 약 3백여평의 논밭과 산기슭에 위치한 장창골 와요지는 채집된 8엽 연화문 수막새의 연꽃무늬와 중앙의 높은 자방, 수작업으로 붙인 사이잎 (間瓣)
등으로 판단할 때 6세기 중반경 (서기5백91년이전)
에 제작됐고 가마의 본체는 매몰돼 있을 것으로 추정됐다.

또 7~9세기의 통일신라시대 기와들이 함께 채집되고 있는 점으로 미뤄 이 가마에서는 삼국시대.통일신라시대의 2차례에 걸쳐 기와가 생산됐으며, 통일신라시대의 기와들은 인근의 창림사.남간사.천은사 등의 사찰에 공급된 것으로 밝혀졌다.

남산에서 삼국시대 (6세기대)
의 와요지가 발견됨에 따라 고신라 막새기와의 발생, 제작기법, 제작시기, 수급관계 등을 연구하는데 중요한 자료가 될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지금까지 경주에서 발견된 삼국시대 기와가마터 (안강 육통리 : 6세기, 내남면 망성리 : 6세기말, 현곡면 다경 : 6세기말)
는 모두 왕궁이었던 월성 (月城)
과의 직선거리가 5~23㎞로 비교적 멀리 떨어져 있는데 비해 장창골 와요지는 불과 1.7㎞거리에 있다.

박물관 박홍국 (朴洪國)
학예연구실장 (불교고고학)
은 "불교유적지로만 널리 알려진 남산에서 가마와 같은 생산유적이 발견됨으로써 남산의 북부가 여러 면에서 신라문화의 요람이었음을 증명해주고 있다" 고 의미를 부여했다. 문의 054-760-1251.

경주 = 황선윤 기자<suyohwa@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