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암갤러리 '극사실 회화…'전을 보고

중앙일보

입력

현대미술은 곧 추상미술이라는 공식이 성립될 정도로 1950년대 이후 우리나라 화단은 추상 실험에 열중하고 있었다.

그러다 70년 중반부터 다시 사실적인 회화로 돌아가려는 시도가 나타나기 시작했다. 이러한 경향은 미국과 영국에서 이미 60년대 후반부터 시도되고 있었다.

극사실주의, 또는 사진사실주의로 불리는 작품들이다. 이들 작품들에서 마치 현미경을 통해 보는 것 같이 정밀하게 그려진 사물들은 오히려 비사실적이고 낯설게 느껴진다.

호암갤러리에서 29일까지 열리고 있는 '사실과 환영:극사실회화의 세계' 는 바로 이러한 일련의 우리나라와 미국의 작품들을 함께 보여줌으로써 세계 미술의 흐름 속에서 우리 미술을 파악해 볼 수 있는 전시회다.

우리나라의 70년대 사실주의 회화는 자기 주장이 분명한 미술운동은 아니었다. 이런 이유에서 그 동안 70년대를 주도했던 모노크롬 회화와 80년대의 민중미술에 가려져 있었던 이 미술운동을 새롭게 바라 볼 수 있는 기회를 마련했다는 점에서 이번 전시 기획은 신선하다.

그런데 전시 작품들을 보면 두 나라 작품들에서 분명히 다른 점이 있다는 사실을 깨닫게 된다. 미국의 극사실주의 작가들이 화면의 매끄러운 평면성에 매혹되었다면, 우리나라 작가들은 오히려 실제로 착각하게 하는 눈속임 효과에 더 끌린 것 같이 보인다.

또 돌이 많은 제주도에서 자란 고영훈의 돌의 정밀 묘사나, 70년대 흔히 볼 수 있었던 공사장 안내판.찢어진 포스터 등을 그린 조상현, 숨막히는 하얀 막 속에 갇힌 인간을 그린 김종학의 작품들은 표면적으로는 극사실적인 묘사라는 공통점이 있지만 훨씬 개인적인 의미와 의도를 갖는다.

그렇다면 과연 우리나라의 70년대 사실주의 미술을 서양의 극사실주의와 같은 선상에서 보아야 하느냐라는 문제가 제기된다. 이번 기획전은 바로 이런 문제제기를 가능케했다는 점이 가장 큰 성과이며, 그 점에서 앞으로 기억될 전시로 남을 것 같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