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KBS 1TV〈역사스페셜〉'포석정은 놀이터가…'

중앙일보

입력

'927년 12월, 후백제의 견훤이 영천을 점령하고경주로 진격해올 때 신라 경애왕(景哀王)은 적군이 쳐들어오는 것도 모르고 포석정(鮑石亭)에서 연회를 즐겼다.' 삼국사기의 기록이다. 이 기록으로 인해 포석정은 국정을 돌보지 않고 주색잡기에 빠진 방탕한 왕실로 인해 신라가 멸망했다는 것을 보여주는 상징적인 장소로 아직도 많은 사람들에게 인식돼있다.

오는 31일 오후 8시에 방송될 KBS 1TV〈역사스페셜〉'포석정은 놀이터가 아니었다'는 이러한 포석정에 관한 일반의 인식에 대해 과감하게 의문을 제기한다.

▲12월이면 야외에서 음주가무를 즐기기에는 너무 춥다는 점 ▲아무리 국정에무관심한 왕이었을지라도 적군이 25㎞ 앞에 있는데 연회를 즐길 수는 없었을 것이라는 점 ▲포석정이 위치한 경주 남산은 신라의 4대 성지로서 대신들이 큰 일을 논의하던 곳이라는 점 등이 그것. 제작진은 이러한 의문점들을 해결해나가는 방식으로 포석정의 실체에 다가간다.

먼저 경애왕이 포석정을 찾았던 12월은 호국적인 성격의 불교의식인 팔관회가열리던 시기와 일치한다. 따라서 경애왕은 적의 침범을 막아주기를 기원하는 팔관회즉, 호국제사를 포석정에서 열었을 것이라고 추측해볼 수 있다.

포석정을 왕들의 놀이터로 해석하는데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현존하는 유상곡수(流觴曲水)터 때문. 유상곡수는 흐르는 물에 술잔을 띄우고 시를 짓는 놀이로알려졌다. 그러나 유상곡수가 비롯된 중국의 기록을 보면 유상곡수가 계사라는 의식과 관련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계사는 동쪽으로 흐르는 물에 몸을 씻어 부정을없애는 의식으로 유상곡수와 함께 이뤄졌다는 것. 유상곡수는 단순한 유희가 아닌성스러운 의식의 일환이었던 것이다.

주변이 모두 성지로 둘러싸인 포석정은 그 위치로 볼 때 왕들의 놀이터라고 보기에는 무리가 있다. 비록 진위여부를 놓고 논란이 계속되고 있기는 하지만「화랑세기(花郞世記)」필사본에는 포석정이 포석사 및 사당으로 기록돼있기도 하다. 게다가지난 98년 문화재연구소는 이 지역에서 '포석'이라고 쓰인 명문기와와 궁궐이나 대규모 절에 쓰이는 와당류 등의 유물을 다수 출토해 포석정이 사당과 절, 제단 등 호국제사와 국가안위를 기원하기 위한 중요시설이 있던 성지였을 수 있다는 가설을 뒷받침해주고 있다.

이 프로그램을 연출한 김정수PD는 "포석정이 왕들의 놀이터였다는 삼국사기의기록은 신라멸망과 고려건국의 정당성을 확보하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며 "포석정주변의 유물들에 대한 발굴이 좀 더 이뤄진다면 그 실체가 명확하게 드러날 것"이라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최승현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