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행성충돌로 지구생명체 두번이상 멸종

중앙일보

입력

소행성이나 혜성 충돌에 따른 지구 생명체 멸종은 최소한두 번이상 발생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중국과 일본 등지의 퇴적층을 조사한 미국 과학자들은 23일 발간된 미 과학전문지 사이언스 최신호(23일자)에 6천500만년전 공룡을 멸종시킨 충돌보다 큰 규모의소행성 충돌이 훨씬 앞선 2억5천100만년 전에도 일어나는 내용의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이 시기는 페름-트라이아스기(기) 소멸 시기와 일치한다.

고생대 최후의 기인 페름기에는 상어와 파충류, 원시 공룡과 바다 절지동물의일종인 삼엽충, 겉씨식물 등이 출현했으며 중생대 최초의 트라이아스기에는 이러한생명체와 함께 각종 포유동물이 나타났다.

이른바 `대멸종''이라 불리는 이 시기에 해양 생명체의 90%와 육지 생명체의 70%가 사라졌다는 설명이다.워싱턴대학 지구화학자인 루안 베커 교수는 "거의 모든 해양생명체와 대부분의 육지 생명체가 순식간에 사라졌다"고 말했다.

당시 우주 공간에서 날아온 거대한 바위 덩어리의 충돌로 수 백㎞에 이르는 고열의 유독가스가 발산되고 수 백만 톤의 먼지가 대기를 뒤덮어 몇 개월 동안 태양을가리면서 생명체를 멸종시켰다는 것이다.

학자들은 행성 또는 혜성이 지구와 충돌해 페름-트라이아스기 멸종을 가져올 때이른바 `버키볼''(Buckyballs), 즉 배구공 모양으로 내부에 공동(공동)이 만들어져있는 탄소 덩어리가 퇴적됐다고 분석했다.

베커 교수는 버키볼 공동 안에서 지구외의 다른 행성에서 온 것으로 추정되는헬륨 동위원소를 발견, 이는 페름-트라이아스기 멸종이 우주에서 떨어진 거대한 물체에 의해 촉발된 확실한 증거로 분석했다.

연구진은 페름-트라이아스기 멸종 시기는 지구가 한 대륙으로 붙어 있어서 대륙이 갈라졌던 중생대 최후의 백악기-제3기 공룡 멸종 시기와는 차이점이 있다고 설명했다.또 공룡 멸종 때는 이리듐이 많이 퇴적됐으나 페름-트라이아스 멸종 때는 헬륨 동위원소가 대부분 퇴적됐다는 것이다.

페름-트라이아스기 멸종 시기에 지구를 100만년 동안 3m 높이로 뒤덮을 수 있는 160만㎦의 용암이 분출돼 해양과 바다, 대기를 완전히 변화시켰을 것이라고 한학자는 추정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