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일 국채=안전자산’ 공식 흔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경제 02면

메르켈

유럽에서 최고의 안전자산으로 꼽히는 독일 국채에도 ‘경고등’이 켜졌다는 지적이 나왔다. 함영곤 한국금융연구원 연구원은 17일 주간 금융브리프에서 “남유럽 국가의 재정위기가 심화되면서 글로벌 안전자산으로 손꼽히는 독일 국채의 안전성에도 의구심이 제기되고 있다”고 밝혔다.

위기가 급격하게 번질 경우 유로존의 최대 경제국인 독일이 가장 많은 부담을 떠안을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올해 초 마이너스 금리로 국채를 발행했던 독일의 국채금리는 스페인이 구제금융 수용을 발표한 지난 9일부터 급등하고 있다. 지난 14일(현지시간) 독일 10년 만기 국채 금리는 1.49%까지 올랐다. 재정부실 국가의 국채금리가 치솟으면 독일 채권으로 자금이 이동해 금리가 하락하던 기존의 공식이 깨진 것이다.

유로존 위기 속에서 독일도 안전할 수 없을 것이라는 우려가 반영된 결과라는 분석이다. 채권금리 상승은 채권 값이 떨어진다는 뜻이다.

 독일의 신용부도스와프(CDS) 프리미엄도 치솟고 있다. 5월 말 1%를 넘어선 데 이어 지난 11일에는 올해 최고치인 1.09%까지 급등했다. CDS프리미엄은 국가나 기업이 발행한 채권을 사들인 투자자가 부도에 대비해 내는 보험료 성격의 수수료다. 이게 상승하면 부도 위험이 커졌다는 의미다.

글로벌 자산운용사인 프랭클린템플턴의 존 벡 국제채권투자책임자는 최근 “독일의 국채를 절대적 안전자산이라고 믿고 투자하는 행위를 이해할 수 없다”고 비판하기도 했다.

함 연구원은 보고서에서 “독일의 중소형·지방은행들의 안전성을 담보할 수 없는 점도 독일 국채의 안전성에 대해 의문을 갖게 만드는 요인”이라고 지적했다.

금융위기 이후 큰 타격을 입은 독일의 중소형·지방은행들이 보유한 해외 부실자산 문제가 해결되지 않고 있는데, 유로존의 혼란이 커지면 이 문제가 새롭게 부각될 수 있다는 것이다. 함 연구원은 “국내 투자자들은 독일 국채에 대한 향후 전망이 불투명하다는 점을 감안해 투자전략을 수립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김혜미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