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폰 "3G로 공짜 영상통화"…서비스 시기는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2면

음성인식·대화 ‘시리’ 한국어 서비스 아이폰의 음성인식·대화 기능인 ‘시리(Siri)’가 한국어와 중국어도 할 수 있게 된다. 애플의 스콧 포스톨 부사장이 11일(현지시간)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열린 ‘세계개발자회의 2012’에서 시리가 구사할 수 있는 언어를 소개하고 있다. [AP=연합뉴스]

공짜 이동통신 음성통화에 이어 본격적인 공짜 영상통화시대가 열리게 됐다.

 무료 영상통화를 가능케 한 주인공은 미국 애플이다. 애플은 11일(현지시간)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열린 ‘세계개발자회의(WWDC) 2012’에서 “올가을부터 무료 영상통화 서비스 ‘페이스타임’이 일반 이동통신망을 통해 이뤄지도록 할 것”이라고 밝혔다.

 페이스타임은 아이폰이나 아이패드 사용자끼리 영상통화를 할 수 있는 서비스다. 지금까지 이 서비스는 통화하려는 두 사람이 모두 무선인터넷인 와이파이(wifi)에 연결됐을 때만 사용이 가능했다. 그러나 애플은 올가을부터 3세대(3G)·4세대(4G) 같은 이동통신망에서도 페이스타임을 쓸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휴대전화가 터지는 곳에서는 어디서든 무료 영상통화를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애플은 가을에 서비스를 시작한다고만 했을 뿐 구체적으로 시점을 밝히지는 않았다.

 국내 이동통신사들은 연거푸 타격을 받게 됐다. 지난 5일 시작된 카카오톡의 무료 음성통화 ‘보이스톡’에 이어 이번엔 무료 영상통화 서비스가 등장했기 때문이다. 특히 이동통신 3사 중 국내에서 아이폰과 아이패드를 팔아온 SK텔레콤과 KT는 음성·영상 통화 수입이 줄 것을 우려하고 있다.

익명을 원한 한 이통사 관계자는 “음성도 영상도 공짜로 서비스하면 장기적으로 이통사의 수입 기반이 사라지고 말 것”이라고 말했다. SK텔레콤 관계자는 “데이터 전송량에 제한을 둬 공짜 영상통화를 많이 하지 못하게 하거나, 요금을 올리는 방안 등 대책을 고민하고 있다”고 전했다. 현재 국내 아이폰·아이패드 사용자는 대략 500만 명으로 추정된다.

 애플의 이날 행사는 삼성에 대한 견제성 발언과 함께 시작됐다. 무대 위에 불이 꺼지고 음악이 잦아들자 아이폰의 음성인식·대화 기능인 ‘시리(Siri)’가 “삼성의 새로운 제품에 기대가 커요. 스마트폰 말고 냉장고요”라는 농담을 던진 뒤 팀 쿡 최고경영자(CEO)를 소개했다. 그간 애플 내부 행사인 WWDC에서는 경쟁사 이야기를 꺼내지 않는 게 관례였다.

 애플은 이날 새로운 이동통신기기용 운영체제(OS) iOS6을 공개했다. iOS6의 가장 큰 특징은 시리의 기능 강화다. 날씨 같은 간단한 얘기를 알아듣고 답하던 시리가 더 복잡한 문장을 이해하게 됐다.

예를 들어 “(미국 프로농구 선수) 르브론 (제임스)과 코비 (브라이언트) 중 누가 더 크지?”라고 질문하면 “르브론이 조금 더 큰 것 같다”고 할 정도로 진화했다. 스포츠 경기 결과나 영화 상영 시간표를 물으면 답을 하고, 레스토랑 예약 지시를 받아서는 처리할 수 있게끔 됐다. 지원하는 언어에는 한국어와 중국어·이탈리아어 등이 추가됐다. 아이폰에서만 되던 시리는 iOS6을 깔면 아이패드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또 구글맵을 버리고 자체 지도를 채택했다. 애플맵은 확대해도 그림이나 문자가 깨지지 않고, 하늘에서 보는 3D 지도 플라이오버도 제공한다. 내비게이션 기능과 실시간 교통 정보도 지원한다. 페이스북 앱을 따로 구동하지 않아도 카메라나 사진앨범에서 바로 페이스북으로 사진을 올릴 수 있다.

박태희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