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각 왜 1월로 당겼나]

중앙일보

입력

내각 개편의 시기가 '내년 1월하순' 으로 잡혀가고 있다.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25일 "김대중 대통령이 짜고 있는 국정쇄신의 일정은 당직 개편→내년 초 신년사를 통한 대국민 설득→개각" 이라면서 "국정쇄신 흐름의 탄력을 유지하기 위해선 내년 1월을 넘겨선 곤란하다" 고 강조했다.

여권에선 그동안 개각시기를 4대 부문(기업.금융.노사.공공)의 구조조정이 일단락되는 내년 2월께로 잡아왔다. 경제장관들의 개혁성과를 평가해 반영한다는 논리였다.

그러나 이 관계자는 "4대 부문 중 기업.금융부문은 올해 말까지 끝내기로 했는데 내년 초면 그 결과가 드러나는 것 아니냐" 고 말했다.

그는 "金대통령의 신년사에 담길 집권 후반기 국정쇄신의 청사진이 내각에 주는 하중(荷重)을 감안할 때 그 시기가 당겨질 것" 이라고 전망했다.

이와 관련, 민주당 김중권 대표는 이날 "국회가 잘 돼야 한다" 고 말했다. 이번 임시국회에서 다룰 정부조직법안(재경.교육부장관의 부총리 승격, 여성부 신설)과 내년 1월 중순으로 예정된 한빛은행 사건 청문회(12~17일).공적자금 청문회(16~20일)를 의식한 발언이다.

여권의 다른 관계자는 "공적자금 청문회는 전.현직 경제팀에 초점이 맞춰질 것이어서 개각은 그 후가 될 것" 이라고 말했다.

여기에다 청문회 뒤에 설 연휴(23~25일)가 있어 개각시기는 1월 하순이 될 것이라는 게 대체적 전망이다.

그러나 국민.주택은행의 파업으로 인해 구조조정이 차질을 빚을 경우 개각시점이 당초 잡았던 2월이 될 가능성도 있다.

정부조직법안의 국회 통과문제도 개각의 변수다. 민주당은 정부조직법안을 이번 임시국회(회기만료 내년 1월 9일)에서 반드시 처리하겠다는 입장이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