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안·아산 택시 영업구역 8년 갈등 끝나나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25면

KTX천안·아산역 영업을 둘러싸고 충남 천안과 아산 택시업계가 갈등을 빚는 가운데 국토부 주최 공청회에서 한국교통연구원이 제1안으로 천안·아산 전 지역 통합안을 제시했다. 그러나 KTX천안·아산역의 역세권만을 통합해야 한다고 주장해온 천안지역의 택시업계는 “용역 조사가 엉터리”라며 반발하고 있다.

 국토해양부는 2일 오후 공주시 충남도교통연구원에서 열린 공청회 주제발표에 나선 한국교통연구원 강상욱 연구위원은 택시사업구역 조정과 관련, 천안·아산 전체사업구역 통합을 가장 합리적인 방안으로 내놓았다. 이 밖에 ▶KTX천안·아산역 한정 공동사업구역 지정 ▶KTX천안·아산역 심야시간대(밤10시~오전6시) 한정 공동사업구역 지정 등의 대안도 제시했다.

 강 연구위원은 양 지역 전체통합은 도시권 택시이용편의 증대와 택시영업기회 확대, 불법·편법운행 해소 및 서비스 경쟁 등의 장점이 있다고 밝혔다.

 그는 “도시권의 급격한 교통여건 변화에 따른 택시업계 공조 필요와 선의의 서비스 경쟁을 통한 택시이용 편의개선이 시급하다”며 양 지역 전체통합안을 1안으로 제시하는 이유를 밝혔다.

 그러나 천안시 택시업계는 보고서에서 인용된 각종 자료가 정확한 조사에 근거하지 못하고 있거나 허구 자료라고 주장하며 용역결과에 제시된 전체 통합안을 받아들일 수 없다는 입장이다.

 천안시 택시업계 관계자는 “천안·아산역 이용객 80% 이상이 천안을 방문하는 사람들이기 때문에 전체통합을 하면 아산택시들만 이로운 것”이라며 “역사 인근만 공동사업구역으로 지정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아산시 측은 “아산 사람들은 천안에서 소비를 하고 학생들은 천안으로 학원을 다니는 등 생활권이 동일해지고 있다”며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해선 양 지역의 택시 영업구역을 통합하는 게 바람직하다”고 주장했다.

 국토부는 공청회에 대한 양 시의 의견을 듣고 조율에 나설 계획이나 이번에도 합의가 이뤄지지 않으면 조만간 직권으로 조정할 방침이다.

한편 천안·아산역의 택시영업권 갈등은 2004년 KTX가 개통하면서 시작됐다. 양 지자체는 무려 8년 동안 수십차례에 걸쳐 관계자들이 협의를 위해 모였지만 서로 간 이견을 좁히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