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조선 최대 장터서 벌이던 ‘송파산대놀이’ 오늘까지 이어져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02면

김경숙
송파문화원 문화해설사

“얼쑤 절쑤 얼쑤 절쑤~”

 지난해 8월 14일. 비가 내렸지만 송파구 석촌호수변에 있는 서울놀이마당에선 길놀이·씨름·줄타기·민요·풍물놀이와 더불어 ‘송파산대놀이’가 신명 나게 펼쳐졌다. 송파민속보존회가 주관하고 문화재청과 한국문화재보호재단·송파구가 후원하는 송파백중놀이 제20회 정기공연이었다. 정월 초하루와 사월 초파일, 오월 단오, 칠월 백중날은 물론 매주 토·일요일 오후 3시면 서울놀이마당에서는 다양한 민속공연이 열린다.

 전통 민속예술 발굴과 전수·전승·보존을 목적으로 1984년 12월 15일 서울시가 건립한 서울놀이마당은 관람석 1500석을 갖췄다. 전통적인 팔작지붕과 배흘림기둥의 멋스러운 외관을 자랑한다. 행정 주소는 잠실동 47번지이지만 석촌호수 서호변에 있어서인지 흔히들 석촌동 서울놀이마당이라 부른다. 그런데 바로 이곳이 조선시대에도 송파장 놀이패들의 무대였다. 송파장은 당시 전국 최대 장이었다.

 

송파산대놀이를 표현한 민속화(위)와 서울놀이마당 공연 모습. [사진 송파문화원·송파구청]

석촌호수는 본래 송파나루가 있던 한강의 본류로 한양과 충청·경상·전라를 잇는 뱃길의 요지였다. 서울 근교 5대 한강나루터(송파·한강·서빙고·용산·마포) 중에서도 대표적인 상업지역이었다. 1809년(순조 9년) 편찬된 『만기요람(萬機要覽)』에 의하면 전국 1061개의 향시(鄕市) 중 첫손가락으로 꼽는 곳이 송파나루에서 열리는 송파장이라고 하였으니 한양 도성과 전국 각지를 연결하는 거대 장으로서의 면모를 가히 짐작할 수 있다. 한창 흥했을 때는 송파나루에 수십 척에서 많으면 백여 척에 이르는 경강선(京江船)이 정박했다고 한다. 경강선은 조선시대 한강을 운항하던 배다.

 그래도 혹여 ‘장이 흥청거리지 않는다’ 싶을 땐 송파장 상인들이 돈을 모아 놀이패를 불러 공연을 하였는데 이를 위해 송파장터 가운데에 놀이판, 즉 무대가 마련됐다. 주로 저녁 무렵에 공연되던 탈놀이가 점점 낮 시간대로 앞당겨진 것도 많은 사람을 모으기 위해서였다. 특히 칠월 백중에는 이 놀이극을 보기 위해 인산인해를 이루었다고 하니 송파장 상인들 입장에선 분명 그 몫을 톡톡히 받아낸 듯하다.

 그 중 가장 대표적인 공연이 바로 송파산대놀이다. 산대(山臺)란 연극을 하기 위해 대를 높이 쌓아 임시로 만든 무대를 의미한다. 산대극은 고려시대 이전부터 행해져 왔으나 고려시대 궁중극으로서의 ‘산대잡희(산대잡극)’에서 그 유래를 찾는 것이 일반적이다. 조선시대 광해군 때는 산대도감을 둘 정도로 번성하기도 했지만 임진왜란·병자호란을 겪으면서 궁중 재정난과 여론의 힘에 밀려 1634년(인조 12년)에 공적 의식으로서는 폐지됐다. 이후 한양 도성을 벗어나 전국적으로 흩어지게 된 ‘도감패’들의 일부가 놀이패를 결성해 애오개(아현동)·녹번·구파발·사직골 등에서 ‘본산대(本山臺)’로의 정통성을 유지했다. 그러나 아쉽게도 일제 강점기 이후 근대 도시화 물결 속에서 그 명맥을 제대로 잇지는 못했다.

 그런데 한양의 ‘본산대’도 아닌 ‘별산대(別山臺)’로서 꿋꿋이 불씨를 살려낸 놀이가 바로 서울에서 유일한 중요무형문화재 49호로 지정된 송파산대놀이다. 별산대란 본산대가 공연 홍보를 위해 순회공연을 하고 나면 각 지방에서 이를 흉내 내어 산대놀이를 펼치는 것이다. 양주별산대놀이와 송파산대놀이가 대표적이다.

 조선시대 사람들에게 송파산대놀이는 최대 구경거리였다. 익살스러운 표정의 27종 32개의 탈을 쓴 출연자들의 흥겨운 춤사위, 맛깔스러운 재담 한 대목 한 대목에서 구경꾼 모두는 한마음이 돼 가슴 속 응어리를 토해냈다. 나 하나밖에 모르던 사람들에게는 ‘우리’를 알게 해주는 장이었다. 과장된 몸짓과 정제되지 않은 말투, 익살스러운 동작과 표정, 이에 걸맞은 춤사위, 함께 어우러질 수 있는 장단, 열려있는 무대, 오방색(五方色, 황·청·백·적·흑색) 의상 등을 통해 신분을 막론하고 누구든, 무엇이든 시원하게 풀 수 있었던 장이 바로 송파산대놀이 한마당이었다.

 그런데 이렇게 번창했던 송파장도 1900년대 들어 경인철도와 광진교 준공으로 배 없이도 서울 통행이 가능해지면서 상업세력이 분산돼 결국 침체기를 맞는다. 더구나 1925년 을축년 대홍수로 송파장 자체가 유실돼 사라져버린 후에는 그곳에 기반을 두었던 송파산대놀이도 자연 시들해질 수밖에 없었다. 한동안 맥이 끊기는 듯했으나 1950년대 후반에 들어 그 명맥을 이어가고자 했던 숨은 이들의 노력으로 옛 놀이꾼들의 구술과 채록이 복원되기 시작했다. 이를 바탕으로 1963년과 1972년에 전국 민속경연대회에서 본상을 받으면서 1973년 5월 중요무형문화재 49호로 지정되기에 이르렀다. 1984년 서울놀이마당 건립과 더불어 제대로 된 공간에서의 공연이 가능케 되었던 것이다.

 올 여름에도 백중날이면 송파산대놀이를 비롯한 우리의 흥겨운 가락들이 서울놀이마당에 가득 울려 퍼질 것이다. 1989년 9월 70여 년 만에 송파백중놀이를 재현한 이래 스물한 번째 맞게 될 이번 정기공연이 벌써 기다려지는 것은 바로 그 안에서 과거와 현재가 자연스레 어우러지는 ‘우리’를 발견할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 때문이 아닐까 싶다.

김경숙(52)씨는 2010년 송파문화원 박물관대학 수료 후 심화과정을 거쳐 송파문화해설사로 활동 중이다. 지난해 한성백제박물관의 ‘미리 보는 박물관’ 프로그램에서 자원봉사로 해설을 했다. 30일 문을 여는 한성백제박물관에서 전시해설사로 활동할 예정이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