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라크, "잠정 평화협정으로 팔레스타인 국가인정"

중앙일보

입력

에후드 바라크 이스라엘 총리는 팔레스타인과의 최종 평화협정 체결이 어려울 경우 2-3년에 걸친 잠정 평화협정을 통해 요르단강 서안지구의 영토 10%를 추가 양도하고 팔레스타인 국가를 인정할 용의가 있다고 30일 제의했다.

바라크 총리는 이날 텔아비브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중동평화협상의 최대 난제인 팔레스타인 난민 문제와 동예루살렘 문제에 관해 합의가 이뤄지지 않을 경우 잠정적인 평화협정의 연장을 통해 요르단강 서안지구의 10%를 이양하고 팔레스타인 국가를 승인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잠정 평화협정을 통해 점령지에 건립된 유대인 정착촌은 계속 이스라엘이 관리토록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바라크 총리는 이어 동예루살렘의 향후 지위 문제와 약 370만명에 달하는 팔레스타인 난민 문제는 향후 2-3년내 타결, 협정을 체결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현재 팔레스타인은 요르단강 서안의 40%를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이스라엘이 10%를 추가로 양도할 경우, 요르단강 서안의 50%를 장악하게 된다. 이에 대해 팔레스타인측은 바라크 총리의 잠정 평화협정 제안을 거부하고 예루살렘 문제와 난민 문제를 완전히 타결하는 최종적인 협정 체결을 주장했다.

야세르 아라파트 팔레스타인 자치정부 수반의 측근인 나빌 아부 루데이나는 AFP와의 회견을 통해 “어떠한 장점 협정도 단호히 거부하며 최종 평화협정 체결의 지연은 결코 받아들일 수 없다”고 밝혔다.

바라크 총리의 잠정 평화협상 제안은 각 정파가 조기총선 준비에 나서는 등 이스라엘의 정치적 격랑이 예고된 상황에서 팔레스타인과의 유혈사태 타개를 통해 총선승리의 발판을 만들겠다는 의도에서 비롯된 것으로 풀이된다.

이스라엘 정치 분석가들은 여론조사에서 나타난 바라크 총리의 지지도가 지지부진해 평화협정을 타개하지 않고서는 승리하기 어려울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이스라엘 야당은 이같은 바라크 총리의 의도를 사전차단하기 위해 바라크 총리의 어떠한 협정 타결 시도도 막을 수 있게하는 법안을 제출했으며 이 법안은 내주중 심의될 것이라고 현지 언론들이 보도했다.

최근 여론 조사에 따르면 투표가 바로 실시될 경우, 강경파인 리쿠드당의 아리엘 샤논 당수와 베냐민 네타냐후 전 총리가 51%대 37%로 바라크 총리를 누를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됐다.

바라크 총리와 아라파트 수반은 두 달에 걸친 양측간 유혈충돌 종식을 위해 다음주중 이집트 중재로 정상회담을 여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는 이스라엘 언론들의 보도를 부인했다.

그러나 급진 팔레스타인해방민주전선(DFLP)
은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이 모 아랍국가 수도에서 비밀 평화회담을 개최중이라고 30일 주장하면서 아라파트 수반에서 협상 중단을 촉구했다.

미국은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에 미국이 중재하지 못하더라도 양측이 정상회담을 열어 평화정착 방안을 논의해 줄 것을 당부했다. 한편 30일에도 베들레햄 외곽 등지에서 이스라엘 군과 무장 팔레스타인인 간의 총격전이 발생, 팔레스타인인 2명이 사망하고 최소 3명이 부상했다. 이스라엘은 평화 제스처의 하나로 한달 이상 폐쇄됐던 가자공항을 1일 재개키로 했다고 팔레스타인 민간항공 당국이 전했다.

이스라엘은 그러나 라마단 성월(聖月)
첫 금요기도회가 열리는 1일 예루살렘의 알-아크사 사원에서 또다른 불상사가 일어날 것을 우려, 치안을 대폭 강화했다.

(텔아비브.가자 AFP.AP.dpa=연합뉴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