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란 핵위기 고조 … 오일머니 봉쇄 걱정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6면

중동 지역 하면 빼놓을 수 없는 것이 ‘정세 리스크(political risk)’다. 지난해 봄부터 아랍을 강타한 민주화 열기는 걸프 부국의 군주들을 긴장시켰다.

 아부다비 왕세자 비서실과 싱크탱크 역할을 겸하고 있는 에미리트전략연구센터(ECSSR)의 자말 사나드 알수와이디(사진) 소장은 ‘아랍의 봄’에 대한 견해를 묻자 화를 냈다. “의·식·주는 물론, 해외유학·관광의료 등 삶에 필요한 모든 것을 통치자가 보장해 주는데 무슨 반정부 감정이 있겠느냐”는 논리였다. 하지만 ‘아픈 곳을 건드렸다’는 표정이 역력했다.

  사우디아라비아 지역에서는 지난해 소규모 소요가 일어났다. 일부 현지 주재원 사이에서는 “사우디 정부의 적극적인 건설 투자는 낙후된 서부 지역 주민에 대한 보상 성격”이라는 해석이 나온다. 바레인에서도 산발적인 민주화 시위가 있었다. 이 때문에 걸프협력회의(GCC) 회원국(사우디·UAE·카타르·쿠웨이트·오만·바레인) 군주들은 저마다 다양한 복지 정책을 내놓고 있다. ‘돈으로 민주화 요구를 막는다’는 논리다.

 하지만 이란 핵 문제 는 걸프 지역 부국들에서 풀리지 않는 숙제다. 그중에서도 투자자들이 몰리는 두바이가 직격탄을 맞을 수 있다. 두바이에는 이란 기업 8000곳과 이란인 4만 명이 거주하고 있다. 이란의 중계무역을 상당수 담당하는 곳이기도 하다. 호르무즈 해협을 거치지 않고 수출될 수 있는 석유는 아부다비에서 생산되는 물량의 절반 정도다. 오윤영 두바이 주재 영사는 “전쟁이 나는 순간 두바이 경기는 또다시 바닥을 칠 것”이라고 우려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