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족간 말 다르면…" 北 탈북자 색출 수법 경악

온라인 중앙일보

입력

2002년 중국 선양 일본영사관에 망명 요청을 하다 붙잡힌 탈북자. [사진=연합]

  탈북자 강제 북송 문제가 국제적 이슈로 번지고 있는 가운데 최근 북한 당국이 행방불명자 가구를 강도 높게 조사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탈북자로 추정되지만 확실한 증거를 찾지 못해 행방 불명자로 분류된 이의 가족들이 심문 대상이다.

8일 미국 자유아시아방송(RFA)에 따르면 최근 중국을 방문한 평양 주민 민 모씨는 "방식이 매우 지능적이어서 가족들을 동시에 조사하지 않고 한 사람씩 분리해서 심문한다"며 "행방불명 시점과 집을 나간 동기를 세세하게 따져 가족 간 진술이 조금이라도 차이가 나면 며칠씩 조사를 계속한다"고 전했다. 그는 "진술이 일치해도 조사 요원을 바꿔 가며 같은 내용을 반복해서 묻는 등 진술의 허점을 찾기 위해 매우 강압적인 방법을 쓴다고 들었다"고 덧붙였다.

북한 당국은 전국적으로 실종자 가구에 대한 조사를 진행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황해도 해주의 친정집에 다녀왔다는 화교 조 모씨는 "해주 일대에서도 실종자 가구를 조사한다는 이야기를 들었다"고 전했다. 행방 불명자가 탈북자로 결론 나 가족들이 탈북자 가구로 분류될 경우, 오지 추방과 같은 처벌을 받는다는 게 소식통의 전언이다.

북한 당국이 이 같은 정밀 조사에 나서는 배경에 대해 중국의 한 대북 소식통은 "국제적으로 문제가 된 탈북자 강제 송환 문제와 무관치 않은 것 같다. (북한이) 작심한 것 같다"고 전했다.

북한은 지난해 가을 중국과의 접경 도시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이른바 '폭풍군단 검열'에서 장기 실종상태에서 5년 이상 복귀하지 않은 자를 탈북자로 분류하고, 그 가족들에게 오지 추방 명령을 내린 바 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