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벤치마크]윈ME vs 윈2000. 어떤걸쓸까? -5

중앙일보

입력

인터넷 익스플로러 5.5 :

윈도우2000에는 인터넷 익스플로러 5.0버전이 들어있고, 윈도우미에는 인터넷 익스플로러 5.5버전이 들어있다. 윈도우미에 더 최신버전이 들어있긴 하지만, 윈도우2000도 5.5버전으로 업그레이드할 수 있어 별 차이가 없다고 볼 수 있다. 인터넷 익스플로러 5.5버전은 5.0버전에서 발견되었던 여러 가지 버그와 안정성을 해치는 여러 가지 문제들을 해결해 놓은 안정적인 버전이다. 5.5버전과 5.0버전은 외형적인 차이는 거의 없지만, 내부적으로 상당한 변화가 있었다. 외형적인 차이는 프린트 프리뷰 기능이 추가된 정도이지만, 내부적으로 개발자들이 강력한 프로그램을 개발할 수 있도록 최신기능을 많이 포함시켜 놓았다.

MSN 메신저 3.0 :

윈도우미에는 인터넷 익스플로러 5.5와 함께 msn 메신저 3.0버전이 들어있다. 3.0버전은 그 이전버전과 달리 파일 전송 기능이 추가되어 있고, 예쁜 이모티콘을 사용할 수 있게 해 놓았다. 이모티콘은 채팅중에 사용하는 표정을 나타내는 기호이다.

msn 메신저 3.0은 작은 용량에 비해 기능은 우수한 편이다. 현재 인스턴트 메시징 시장에서는 icq와 AOL 메신저, msn 메신저 등이 경쟁하고 있는데 이번에 msn 메신저가 윈도우미에 기본으로 탑재되어 시장 점유율이 상당히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 인스턴트 메시징은 인터넷 상에서 친구에게 쪽지나 파일을 주고 받을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인터넷을 이용하는 주 목적중의 하나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인터넷 익스플로러 5.0에 있던 msn 메신저에 비해 윈도우미에 들어있는 msn 메신저 3.0은 기능이 대폭 보강되어 타사의 인스턴트 메시징 프로그램과의 경쟁에서 상당한 경쟁력을 확보했다고 볼 수 있다.

새로운 TCP/IP 스택 :

윈도우미에는 윈도우98에 있던 TCP/IP 스택과 비교하여 더 개선된 버전이 들어있다. 바로 윈도우2000에 있던 것인데 윈도우미로 가져오게 되어 윈도우98에 비해 더 나은 성능을 보여주고 있다. 새로운 TCP/IP 스택은 보안이 더 강화되었고, 인터넷을 통한 파일 전송시 더 빠른 전송 속도를 제공해 주고 있다. 예를 들어, 윈도우98에서는 winipcfg라는 명령 프로그램으로 IP 어드레스를 확인하고 새롭게 갱신할 수 있었는데, 윈도우미에서는 윈도우2000에서 사용하던 ipconfig라는 명령어를 사용해서도 이 작업을 할 수 있게 되었다.

홈 네트워킹 마법사 :

윈도우미에서는 홈네트워크에 대한 지원이 매우 향상되었다. 바탕화면에서 네트워크 환경 아이콘을 열고 들어가면 홈 네트워킹 마법사라는 아이콘을 볼 수 있다. 이 홈 네트워킹 마법사를 이용하면 가정에서도 쉽게 홈 네트워크를 구축할 수 있다. 최근에는 일반 가정에서도 두 대 이상의 컴퓨터를 사용하는 집이 부쩍 늘고 있는데, 인터넷 라인은 하나밖에 되지 않아 한 컴퓨터만이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었다. 그런데 홈 네트워크와 윈도우미에서 제공하는 인터넷 공유 기능을 이용하면 다른 컴퓨터들도 모두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다.

홈 네트워크를 이용하면 식구들끼리 스타크래프트나 로그스피어 같은 네트워크 게임을 즐길 수 있고, 파일 공유나 프린트 공유 기능도 이용할 수 있다. 윈도우2000도 이러한 기능을 이용할 수 없는 것은 아니지만, 윈도우미에서 더 손쉽게 추가하도록 지원해주고 있다.

공유폴더를 자동으로 찾아주는 넷크롤러 기능 :

윈도우미에서는 바탕화면의 네트워크 환경 아이콘을 열고 들어가면, 네트워크 상에서 공유되어 있는 폴더를 바로 볼 수 있는 기능이 있다. 이것을 넷크롤러 기능이라고 하는데, 윈도우2000에는 이 기능이 없다. 네트워크 상에 공유 폴더가 너무 많을 때는 오히려 복잡하게만 보일 수도 있는데, 그럴 때는 이 기능이 작동하지 않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 기능이 작동되지 않게 하려면 탐색기에서 도구->폴더 옵션->보기->네트워크 폴더 및 프린터 자동 검색 앞에 있는 체크를 없애면 된다.

뮤직? 고고 ! 윈도우 미디어 플레이어 7 :

윈도우미에는 미디어 플레이어 7이 들어있고 윈도우2000에서는 미디어 플레이어 6.4가 들어있다. 미디어 플레이어 6.4에 비해 미디어 플레이어 7은 많은 부분에서 개선이 이루어졌고 새로운 기능도 대거 추가 되었다. 미디어 플레이어7을 사용하면 예쁜 스킨 기능을 이용하여 미디어 플레이어 7의 모양을 다양하게 바꿀 수 있고, 다양한 시각화(visualization)를 지원하여 음악을 귀와 눈으로 동시에 즐길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오디오 시디로부터 음악 파일을 하드 디스크로 추출해 올 수 도 있고, 시디 레코딩 기능도 추가되어 있어 미디어 플레이어 7에서 바로 시디 레코딩도 가능하다.

미디어 플레이어 7은 단순한 미디어 재생기의 수준을 넘어서는 하나의 미디어로 자리를 잡아 가고 있다. 미디어 플레이어 7을 실행 시키면 하나의 엔터테인먼트 포털 사이트 같은 것이 나타난다. 여기서는 다양한 인터넷 방송도 볼 수 있고, 유명 가수들의 공연 실황도 볼 수 있다.

이렇게 다양한 새로운 기능이 추가되었지만, 가장 많은 문제를 일으키고 있는 것 또한 미디어 플레이어 7이다. 전문가들의 의견에 따르면 윈도우미를 불안정하게 만드는 가장 큰 요인이 미디어 플레이어 7이라는 것이다. 즉, 기능은 많이 추가했지만 그만큼 안전성은 떨어뜨려 놓았다. 마이크로소프트가 제시해 놓은 윈도우미의 최소 사양을 보면 윈도우미디어 플레이어 7이 얼마만큼 리소스를 많이 잡아먹는지 쉽게 알 수 있다. 미디어 플레이어 7을 사용하지 않을 때는 최소 요구사항이 펜티엄150MHz CPU에 32MB였는데, 미디어 플레이어 7을 사용하게 되면 펜티엄 166MHz CPU, 64MB 메모리에 1GB의 사용 가능한 하드디스크 공간이 있어야 한다.

Window Image Acquisition(WIA) :

윈도우미에는 스캐너와 디지털 카메라에 대한 지원이 강화되었다. 특히 마이크로소프트가 제시하는 WIA기술을 따르는 디지털 카메라의 경우 사진을 하드디스크로 전송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조작이 가능하다. 지금은 이 기술을 따르는 디지털 카메라가 적지만, 앞으로 대부분이 이 기술을 지원하게 될 것으로 예상된다. 내 문서의 My Picture폴더 안에서 스캐너를 이용해 스캔 작업도 할 수 있다.

이직
자료제공: pcBee (http://www.pcbee.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