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박근혜, ‘과거와의 단절’ 실천으로 보여줘야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38면

박근혜 새누리당 비상대책위원장이 “과거의 잘못과 완전히 단절하겠다”고 말했다. 어제 방송기자클럽이 주최한 토론회에서다. 부패와 비리, 수구(守舊)를 연상시켰던 한나라당이란 간판을 새누리당으로 바꾸고, 쇄신작업을 진두지휘하는 박 위원장이 이런 다짐을 하는 것은 당연하다. 국민은 한나라당 시절의 모든 구태(舊態)와 부정적인 과거를 깔끔히 청산하길 바란다. 새 세상을 연다는 뜻을 내포한 새누리당이란 이름에 걸맞게 새로운 정치를 하는 걸 보고 싶을 것이다. 박 위원장도 그런 소망을 잘 알고 있기에 ‘과거와의 단절’을 강조했다고 본다. 문제는 언행일치다. 다짐을 행동으로 옮기는 게 중요하고, 국민은 어떻게 하는지 지켜볼 것이다.

 새누리당이 과거의 잘못을 되풀이하지 않으려면 무엇보다 도덕적이고 깨끗한 정당으로 거듭나야 한다. 그러기 위해선 4·11 총선 공천 신청자들의 옥석(玉石)을 잘 가려야 한다. 설령 해당 지역에서 당선 가능성이 큰 경쟁력 있는 예비후보라 하더라도 도덕적으로 결함이 있다면 의석을 잃어도 좋다는 각오로 단호하게 퇴출시킬 필요가 있다. 쇄신의 진정성을 인정받으려면 그렇게 하지 않으면 안 된다. 만일 공천 뚜껑을 열었을 때 ‘과거 한나라당과 차이가 없고, 그 나물에 그 밥’이라는 얘기를 듣는다면 박 위원장은 식언(食言)한 셈이 되고, 국민은 가차없이 심판할 것이다.

 박 위원장은 정수장학회에 대한 질문을 받고 나서 “2005년 이사장직을 그만둔 뒤로 관련이 없다. 이에 대해 정수장학회에서 분명한 입장 표명이 있어야 하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답했다. 그가 정수장학회를 떠난 이후 운영에 관여하지 않은 건 사실이다. 그러나 그와 친분이 두터운 인사(최필립)가 이사장을 맡고 있는 만큼 “아무래도 박 위원장 눈치를 보지 않겠느냐”라고 국민이 오해할 소지는 충분하다. 박 위원장이 공천과 관련해 국민의 눈높이에 맞추겠다고 했듯 정수장학회 문제에 대해서도 국민의 눈높이에 맞출 필요가 있다. 이사장과 이사들을 아주 중립적인 인사로 교체하는 게 옳다고 본다. 박 위원장은 ‘관여를 하지 않는데 어떻게 그럴 수 있느냐’라고 항변할지 모르나 국민의 눈높이는 ‘어쨌든 바꾸는 게 맞다’는 것 아닐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