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c활용강좌]IP 및 포트 스캐닝의 실상 -5

중앙일보

입력

필자가 강조하고픈 것은 제발 공유, 특히 쓰기 공유를 해야만 한다면 반드시 암호를 걸어놓고, 최신 버전의 백신을 설치하라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이 아무리 보안을 강조한다고 해도 글을 읽은 당신이, 그리고 보안이 무엇인지조차 모르는 초보자들이 아무런 대책을 강구하지 않는다면 소용없는 일이다. 당신이 이 글을 읽고 느낀 바가 있다면 당신 자신뿐만 아니라 주위의 무지한 초심자들에게 보안이 얼마나 중요한지, 얼마나 간단히 자신의 컴퓨터를 해커의 침입으로부터 지칠 수 있는지 꼭 일러주기 바란다.

마지막으로... 다음은 필자가 특정 컴퓨터의 침입을 받고 역으로 해당 시스템에 침입해서 남겨놓은 메시지이다. 모두 한 번씩 읽어주셨으면 한다.

귀하의 컴퓨터가 제 컴퓨터로의 침입을 시도했습니다. 믿기지 않으시겠지만 사실입니다. 귀하는 모르셨겠지만 저는 인터넷을 통한 칩입을 감지하는 프로그램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쉽게 알 수 있었습니다. 혹시나 싶어서 귀하의 컴퓨터로 칩입을 해 보니 바이러스에 감염된 파일이 보이더군요. 결국 귀하는 제 컴퓨터(정확히 말하면 제가 사용중인 IP 어드레스)로 들어올 의도를 안 가지고 있었겠지만 결과적으로는 침입한 꼴이 되었습니다. 왜냐하면 바이러스 때문이지요. 당신의 컴퓨터에 설치된 바이러스가 귀하도 모르는 사이에 귀하의 컴퓨터를 이용, 제 컴퓨터에 침입하려 한 것입니다. 이제부터 앞으로 제가 말씀드릴 사항을 꼭 지켜주시기 바랍니다. 1. 바이러스 백신 프로그램을 구해서 실행한 후 바이러스에 감염된 파일을 모두 삭제하세요. 그렇지 않으면 저와는 달리 악의를 가진 해커가 당신의 컴퓨터로부터 공격을 받은 후 당신의 컴퓨터에 저장된 파일을 모두 지워버릴 수도 있습니다. 2. 현재 작업중인 모든 프로그램을 종료하시고, 중요한 자료들은 다른 드라이브(D: 등, 혹시 CD 레코더가 있다면 CD를 구우세요)로 옮기십시오. 특히 귀중한 문서 자료 등이 있다면 반드시 그렇게 하세요. 그러나 바이러스에 감염된 문서(특히 엑셀이나 워드 파일)가 있다면 과감히 지우십시오. 운이 좋으면 바이러스만 잡아낼 수도 있지만 그렇지 않을 경우 반드시 지우셔야 합니다. 3. 모든 백업 및 바이러스 색출 작업이 끝났다면 하드디스크를 포맷합니다. 만일 바이러스가 조금이라도 남아있다면 포맷 작업이 도루묵이 되니 반드시 전문가와 함께 하드디스크를 포맷하십시오. 4. 다시 윈도우 및 주요 프로그램을 설치합니다. 반드시! 백신 프로그램을 설치하고 항상 실행시켜 두시기 바랍니다. 5. 백업해 둔 문서 자료들을 새로이 설치된 드라이브로 옮깁니다. 이때 주의하실 점은 백업된 데이터에 혹시라도 바이러스가 포함되어 있는지 백신 프로그램으로 확인을 하셔야 한다는 점입니다. 6. 보아하니 네트워크의 하드디스크 공유 기능을 쓰시는 것 같은데, 꼭 이렇게 공유를 해야 할 경우에는 반드시 공유용 암호를 걸어두시기 바랍니다. 또한 공유를 통해 가급적 읽기만 가능하도록 해 놓으시는 것이 좋으며, 부득이하게 쓰기까지 허용해야 한다면 반드시 좀 더 암호를 걸어놓아야 합니다. 이상의 작업을 마치셨다면 바이러스 및 해커의 침입을 예방할 수 있을 겁니다. 그럼 행운을 빕니다. ^_^

예승철
자료제공:pcBee(http://www.pcbee.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