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주인 안 나서는 대우차]

중앙일보

입력

대우자동차의 새 주인 찾기가 시간이 흐르면서 조금씩 달라지고 있다.

우선 오는 20일까지 대우자동차를 선 인수-후 정산 방식으로 일괄 인수할 우선협상 대상자를 결정하겠다던 당초 발표는 '공수표' 가 될 공산이 커졌다. 대신 분할 매각이 현실적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한편 4일 김대중 대통령이 대우차.한보철강 매각 무산에 따른 문책을 지시하자 정부와 채권단이 바짝 긴장하고 있다.

◇ 대우차, 분할 매각으로 기울어=정부는 당초 기대했던 GM측이 20일까지 '법적 구속력을 가진 인수조건' 을 제시할 가능성이 희박한 것으로 보고 있다. 조건을 내더라도 채권단이 도저히 수용하기 힘든 내용일 가능성이 클 것으로 보고 있다.

이 때문에 분할 매각이 현실적인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정부 고위 관계자는 "현대-다임러크라이슬러의 경우 대우차 전체는 관심이 없고, 대우가 인수했던 쌍용차라면 살 용의가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 며 "인수자가 원하는 부분부터 팔고 보는 게 낫다" 고 밝혔다.

정부와 채권단은 이럴 경우 생산규모가 작은 르노-삼성도 대우차 공장 일부의 인수에 나설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 책임론 대두에 긴장=대우차 매각 협상을 초기에 현장에서 주도한 사람은 공교롭게도 당시 산업은행 총재였던 이근영 금융감독위원장이다. 매각 협상의 전권은 지난 6월부터 오호근 대우그룹 구조조정협의회 의장에게 넘어갔다.

여기에다 포드가 우선협상 대상자로 뽑히자 국제 관례를 깨고 "포드가 써낸 가격은 7조7천억원" 이라고 포드측 가격을 공개한 이용근 당시 금감위원장도 책임 범위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대우차의 경우 계약 파기시 제재방안을 명시하지 않은 책임이 핵심이 될 전망이다. 그러나 대우차 채권단은 포드가 제시한 가격은 국제 관례상 언제든 바꾸거나 깰 수 있는 '법적 구속력 없는 제시' 였는데 정부가 섣불리 가격을 공개하는 바람에 문제가 됐다며 반발하고 있다.

한보철강은 매각이 완전 무산된 것이 아니며, 곧 다시 성사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책임론은 그 후에나 따질 문제로 보인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