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바마·시진핑 ‘날 선 85분’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1면

시진핑, 미국 의회 방문 미국을 방문 중인 시진핑 중국 국가부주석(왼쪽)이 15일 워싱턴 캐피털 힐에서 해리 리드 민주당 상원 원내대표와 만나 악수하고 있다. 시진핑은 전날 백악관을 찾아 버락 오바마 미 대통령과 회담했으며, 85분 동안 양국과 관련된 현안에 대해 의견을 나눴다. [워싱턴 AP=연합뉴스]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부주석을 외면한 채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은 기자들의 카메라를 바라보며 말했다.

 “지난 20년간 중국은 놀랄 만한 발전을 이룩했다. 하지만 중국의 힘과 번영이 확대된 만큼 중국의 책임은 더 커졌다.”

 오바마 대통령 말투가 단호해졌다.

 “미국은 세계경제 체제에서 모든 나라가 동일한 규칙을 바탕으로 움직이는 데 중국이 기여해야 한다고 본다. 인권문제 도 마찬가지다. 중국이 한반도나 이란 핵 문제 등 국제 이슈에서 더 큰 역할을 맡기를 기대한다.”

 공정한 게임의 룰을 강조하며 강대국에 맞는 책임을 지라는 의미였다.

 시 부주석은 카메라 대신 오바마 대통령의 얼굴을 쳐다보며 답했다.

 “내가 여기 온 건 두 나라 관계를 더 나은 방향으로 진전시키기 위해서다. 우리는 상호 존중과 상호 이익의 바탕 위에서 협력적 파트너십을 구축하도록 해야 한다.”

 우회적이었지만 서로를 존중하며 함께 발전하는 길을 모색하자는 얘기였다. 오바마 대통령의 강대국 책임론을 시 부주석이 상호존중론으로 받은 셈이다. 시 부주석은 뒤이은 오찬에서 조 바이든 부통령이 다시 한번 강대국 책임론을 제기하자 “미국이 세계에서 가장 큰 선진국(developed)인 반면, 중국은 세계에서 가장 큰 개발도상국(developing)”이라며 “대화로 해결해야지 보호주의로 가선 안 된다”고 강조했다.

 14일 오전(현지시간) 백악관 오벌오피스에서 있은 오바마 대통령과 시 부주석 간 첫 공식 만남은 예정된 시간 45분을 훌쩍 넘겨 85분을 채운 뒤에야 끝났다. 정상회담이 아닌 점을 고려하면 이례적 이다. 이중 공개 회동은 17분이었다. 제이 카니 백악관 대변인은 브리핑에서 “이란 핵 문제와 시리아 등 함께 다뤄야 할 문제가 많아 시간이 길어졌다”고 설명했다. 오바마 대통령은 시리아 알아사드 정권 제재와 관련한 유엔안보리 표결 때 중국이 거부권을 행사한 데 대해 “실망했다”고도 말한 것으로 전해졌다. 하지만 백악관 관계자들은 공개된 만남에서의 뼈 있는 발언과 달리 비공개 만남선 다양한 주제로 교감했다고 전했다.

오바마 대통령이 11월 대선에서 재선될 경우 시 부주석과는 적어도 4년 이상을 경쟁하고 협력해야 하는 관계다. 브루킹스연구소의 케네스 리버설 중국센터장은 “11월 대선을 치러야 하는 오바마 대통령이나, (올가을 최고지도자로 오르는) 시 부주석, 둘 다 국내정치를 의식하지 않을 수 없다”며 “공개된 발언보다는 두 지도자가 인간적 신뢰를 쌓을 수 있는 기회가 됐다는 게 이번 만남의 의미”라고 말했다.

 특히 중국의 미래권력인 시진핑을 맞는 미국의 환대는 파격에 가까웠다. 오전 9시부터 오후 9시까지 만 12시간 동안 만난 인사만도 오바마 대통령, 바이든 부통령, 힐러리 클린턴 국무장관, 리언 패네타 국방장관, 존 브라이슨 상무장관 등 각료 대부분과 정·재계 인사를 합쳐 300여 명에 달한다. 당 중앙군사위원회 부주석직을 겸하고 있는 시 부주석을 맞아 펜타곤에선 패네타 장관이 건물 앞 계단까지 마중나왔고, 예포 19발이 발사됐다. 워싱턴 포스트는 미국을 찾은 ‘부(副·vice)’자 들어가는 인사들 중 이런 환대를 받은 사람은 처음이라고 보도했다.

“중, 규칙 지켜라” vs “미, 상호 존중을” … 오바마는 시리아 문제에 ‘실망’ 표현도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