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김신조 "침투조 능력 상상 초월, 숨을땐…"

중앙선데이

입력

업데이트

"중앙선데이, 오피니언 리더의 신문"

"박정희 목을 따러 왔수다" 1968년 1월 22일 TV 생방송 기자회견에서 국민을 소스라치게 했던 김신조(71)씨는 지금 국가안보의 중요성을 설파하는 '안보 전도사'로 변신해 있다. 그를 두 차례 찾아가 "되살리기 싫다"는 44년전의 기억을 더듬게 했다.

-청와대 침투조는 어떻게 편성됐나.

"67년 정찰총국 산하에 침투 작전과 게릴라전을 전문으로 하는 124 부대가 생길 때 창설 요원으로 들어갔다. 그 전에는 다른 특수 부대에서 강도 높은 침투 훈련을 이미 받은 상태였다. 그 해 12월 각 부대에서 차출된 사람들이 황해도 연산군 방정리의 6기지에 모여 훈련을 받기 시작했다. 훈련을 받다 보니 평소 임무와는 뭔가 다르다고 느꼈다. 청와대 공격 임무를 정식으로 하달 받은 것은 68년 1월 9일이다. "

-군사분계선을 넘어 서울까지 오는 동안 아무런 검문도 받지 않았다고 했는데.

"당시 이 나라 방어태세가 그랬다. 우리는 그 이전에도 침투 경험이 많은 베테랑 들이었다. 능력은 상상을 초월한다. 20㎏군장을 메고 산길을, 그것도 밤중에만 한 시간에 12㎞씩 달리게 훈련 받았다. 숨어야 할 때에는 무덤을 파 내고 들어간다. 그러니 어떻게 잡겠나. "

-전향을 결심한 계기는.

"수사 과정에서 단 한번이라도 고문이나 구타를 했으면 오늘의 나는 없었다. 당시 방첩대장 윤필용 장군이 나를 존대하고 인간적 대우를 해 서서히 내 마음이 바뀌었다. 또 나는 투항할 때까지 수류탄은 물론 총 한 발 쏘지 않았다. 내 탄창이 지급받은 상태 그대로였다. 당시 군경과 민간인 여러 명 희생됐지만 내가 하지 않은게 입증돼 처벌을 면했다. "

-동료 요원들의 시체를 모두 다 확인했나.

"시체 2구를 못찾았는데 한두달쯤 지나 임진강에 민간인 차림 시체가 한 구 떠올랐다. 부패가 심해 확인은 어려웠지만 정황상 1·21 사태 도주자로 처리했다. 1구는 끝내 못찾았다. 나중에 알고보니 1명은 살아남아 북으로 귀환했다. "

-그 사람이 박재경 대장이라는 보도가 있었다.

"수년 전 정보기관에서 박재경의 사진을 여러 장 갖고 와 아는 얼굴인지 물었다. 하도 세월이 지난 뒤라 자신있게 대답 못했다. 맞는 것 같기도 하고 아닌 것 같기도 하고."

-그런데 왜 그런 보도가 나왔을까.

"어느 북한군 장교가 귀순해 그렇게 증언한 것으로 알고 있다. 자기가 북에 있을 때 상관이 박재경의 아들이었는데, 그로부터 박재경에 이야기를 들었다는 것이다. 그런데 124 부대원들 중에는 꼭 1·21 사태가 아니더라도 침투했다 돌아간 사람이 많다."

예영준 기자 yyjune@joongang.co.kr

중앙SUNDAY 구독신청

[관련기사]

▶ "김신조 침투조 작두로 목을…" 새증언 충격
▶ '박정희 목을…' 생포된 김신조 "무덤파고 들어가…"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