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전정보, 인간 차별도구 전락 우려

중앙일보

입력

인간 지놈지도의 초안 완성이 발표됨에 따라 유전자가 새로운 차별 도구로 이용될 가능성이 있다는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

과학자들은 앞으로 연구에서 질병 유발 유전자가 확인되면 암이나 심장병 등 질환에 걸릴 위험이 높은 사람들을 미리 찾아내는게 가능해 질 것이라고 밝히고 있다.

고용주나 보험사 등은 이런 유전자 자료를 확보, 병에 걸릴 위험이 있는 사람들을 애초부터 고용하지 않을 경우 수백만 달러를 절약할 수 있다.

이같은 전망이 현실화되면 유전자 차별은 인종과 민족, 성별 등과 함께 또하나의 주요 차별 항목이 되는 것이다.

미 국립지놈연구소(NHGRI) 프랜시스 콜린스 소장은 "우리가 새로운 의학 혁명의 과학적 기초를 마련한 것일 수도 있지만 이것이 오용될 위험성 때문에 어느 누구도 이에 참가하려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많은 사람들이 벌써부터 이에 대한 우려를 표시하고 있다.

최근 실시된 타임-CNN 여론조사에서는 1천218명의 응답자 가운데 75%가 자신들의 유전자 정보를 보험회사들이 알아서는 안된다고 답했으며 84%는 정부도 이 정보를 보아서는 안된다고 답했다.

콜린스와 동료들은 사람들이 유전자혁명의 완전한 혜택을 누리기 위해서는 유전자 차별을 금지하는 연방법률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고 믿고 있다.

빌 클린턴 미국 대통령도 이미 연방정부 고용자들에 대한 유전자 차별을 금지하는 행정명령을 내렸지만 나머지 공공부문에는 보호장치가 없는 상태이며 민주당 의원들이 상.하원에 제출한 `반(反) 유전자차별법안도 법 제정 절차가 원활히 진행되지않고 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