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외환은행, 현대에 유동성대책 보완 요구

중앙일보

입력

정부와 외환은행은 현대그룹이 제출한 유동성확보 대책을 검토한 결과 일부 내용의 구체성과 환금성이 떨어진다고 보고 이를보완해 제출토록 요구했다.

이용근 금융감독위원장은 현대건설의 재무구조 강화를 위해 처분할 수 있는 비주력.비상장계열사와 건설 보유 부동산 등 돈 될 수 있는 것은 모두 매각하라고 촉구했다.

따라서 현대는 31일 제출할 최종 자구책에 외자유치, 부동산매각 등의 방법을통한 추가적인 유동성 확보방안을 포함시킬 것으로 보인다.

정부 고위관계자는 30일 현대가 지난 28일 제출한 현대건설의 유동성 확보대책은 전체적으로 노력의 흔적은 인정되나 서산농장의 활용방안과 올해 투자계획(6조5천억원)을 4조3천억원으로 축소조정해 2조2천억원의 유동성을 추가확보한다는 내용은 구체성과 실현가능성(환금성)이 떨어진다는 것이 주채권은행의 판단이라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따라서 김경림 외환은행장과 김재수 현대 구조조정위원장의 이날 아침 회동에서도 이 부분이 거론됐으며 현대도 추가적인 유동성확보책을 포함시키기로 한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이 금감위원장은 이와 관련, 현대건설이 부채는 5조원인 반면 매출은 6조원으로다른 건설사보다 우량하지만 현재 신뢰가 떨어져 있는 상황이므로 비주력 사업부문(비상장사 등)과 부동산 등 자산을 과감하게 매각하는 것이 시장의 믿음을 얻는 가장좋은 방법이라고 지적했다.

김경림 외환은행장은 현대 유동성대책의 핵심은 겉으로 나타난 규모보다 구체성과 환금성이라며 현대에 성실한 재무구조 개선대책을 내놓을 것을 요구했다고 강조했다.

이와 관련,외환은행측은 현대가 `시장이 신뢰할 수 있는' 구체적인 추가 자구책을 마련키로 했으며 현재 실무선에서 추가 유동성확보 규모 등을 깊이있게 논의하고있다고 밝혔다.

외환은행과 현대는 아울러 이같은 대책을 31일 시장이 열리기 전 아니면 시장이열리자마자 발표키로 한다는 데 의견을 모았다.

이에 따라 현대는 외자유치와 비주력계열사 매각을 포함한 추가적인 유동성 확보대책을 마련, 이날 오후 귀국하는 정몽헌 회장의 재가를 얻어 외환은행과의 최종조율후 31일중 공식 발표할 계획이다.

한편 정부와 채권단은 현대의 지배구조혁신을 위해 요구했던 정주영 명예회장의퇴진과 이익치 현대증권 회장 등 일부 가신경영진 퇴진 요구는 유보하기로 했다.

이 위원장은 “정주영 명예회장의 경우 채권단이 퇴진을 압박하는 것은 모양이 좋지 않으며 이익치씨의 경우도 현대 내부적으로 결정해야 할 일이지 채권단이 나서왈가왈부할 필요는 없다고 본다"고 덧붙였다. (서울=연합뉴스) 김종현.전준상기을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