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재계 양쪽서 '대립설' 진화 움직임 보여

중앙일보

입력

최근 정부와 재계간 갈등이 큰 것처럼 비쳐지자 정부.재계 양쪽에서 이를 진화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이헌재(李憲宰) 재정경제부장관은 28일 낮 민간 경제단체장과 만나 기업을 안심시키면서 정부의 경제개혁 취지를 설명하고 재계의 협조를 당부할 예정이다.

재계도 전경련 김각중(金珏中) 회장과 손병두(孫炳斗)부회장이 재계 인사와 잇따라 만나 '정부 시책에 적극 협조한다' 는 원칙을 세우고 재계 차원에서의 구체적인 시행방안을 마련 중이다.

전경련은 ▶경제개혁에 이견이 없으며▶구조조정을 가속화하고 투명경영을 강화하는 등 기업 스스로 개혁에 적극 나서고▶역사적인 남북정상회담이 성공적으로 이뤄지도록 재계가 협력한다는 등으로 의견을 조율했다.

전경련은 27일 오전 4대 그룹 구조조정본부장 모임을 계획했다가 취소했다.

민감한 시기에 자칫 오해를 살 소지가 있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전경련은 또 가급적 이른 시일안에 경제부처 장관들과 만나 재계 입장을 설명할 수 있기를 바라고 있다.

이는 ▶총선 이후 정부 관계자의 '재벌개혁' 관련 발언이 잇따르고▶국세청.공정거래위원회의 대기업에 대한 조사가 진행되면서▶지난 20일 전경련 회장단이 30대 그룹 지정제도 폐지를 '건의' 한 것이 마치 재계가 정부에 반발하고 있는 것처럼 비쳐지고 있기 때문이다.

정부도 '불필요한 오해는 경제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 는 판단을 하고 있다.

이기호(李起浩)경제수석은 지난 21일 2차 경제개혁 방침을 밝히면서 "정부와 재계를 대립관계로 보지 말아 달라" 고 주문했다.

정부는 국세청이나 공정위의 조사는 이들 기관의 고유 권한으로 해야 할 업무를 하는 것이란 설명이다.

전경련이 건의한 30대그룹 지정제도 폐지 문제도 민간 경제단체로 제도개선 차원에서 건의할 수 있는 것이며, 이를 받아들일지 여부는 정부가 결정하면 되는 것이라고 정부 관계자는 설명했다.

또 현대의 주가하락에 대해서는 26, 27일 이헌재 장관.이용근(李容根) 금감위원장 등이 직접 나서 진화했다.

민병관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