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놈혁명…제4의 물결] 유향숙 유전체사업단장 인터뷰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연구자의 경력과 연구할 내용을 엄격히 심사.평가해 연구에 참여시키겠습니다. 사업에 반드시 필요한 분야라도 수행능력이 없을 경우, 연구과제를 포기하는 한이 있더라도 선정하지 않을 방침입니다. "

21세기 뉴프런티어사업의 유전체(遺傳體) 연구사업단을 맡고 있는 생명공학연구소 유향숙(51.사진) 박사는 이번 사업에 국가적 명운을 거는 만큼 ''구색 맞추기식'' 선정은 하지 않겠다고 잘라 말했다.

지난 21일까지 신청된 연구계획서는 한달 가량의 평가를 거쳐 7월부터 본격적인 연구에 돌입한다.

문제는 유전체 연구를 위한 인프라가 크게 부족하다는 것. 따라서 유박사는 우선 1~2년은 인프라 구축과 함께 연구에 필요한 인력 및 자료를 확보하는 등 시스템 구축에 매진할 것이라고 밝힌다.

유박사는 "우리가 비록 게놈연구의 참여가 늦었지만 틈새시장을 노리면 기대 이상의 성과를 낼 수 있을 것" 으로 전망한다.

"미국에서 암연구에 막대한 연구비를 투입하면서도 우리나라 사람들에게 많은 위암이나 간암은 연구하지 않고 있습니다. 나라마다 다발(多發) 하는 질환이 서로 다르기 때문이죠. "

따라서 한국사람에게 나타나는 특이 유전자를 밝혀 기능을 분석하고 이를 진단기 및 신약개발로 연결해 나가는 것이 유전체연구사업단의 목표라는 것. 연구는 크게 3년 단위.3단계로 나눠지는데 처음에는 정부출연연구소와 대학이 끌어가다 2단계가 끝날 무렵이면 산업계의 참여를 유도할 방침이다.

또 연구의 성공적인 수행을 위해 외국기관의 연구원을 참여시키거나 연구결과를 공유할 계획이다.

그는 "2년 후 생명공학연구소 부지내에 건립될 첨단연구동이 생기면 1층 전체를 유전체사업단이 사용하는 등 정부의 생명공학에 대한 투자비율이 계속 늘어날 것" 이라며 "미국 인체게놈 발표를 계기로 국내 유전자연구와 바이오벤처가 활성화하기를 희망한다"고 말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