르노 상륙, 차업계 인력이동 회오리 예고

중앙일보

입력

프랑스 르노자동차의 삼성자동차 인수로 자동차업계에 인력이동 바람이 거세게 불 전망이다.

르노가 SM5를 연간 5만대 규모로 생산하기 위해서는 당장 올해 2천-3천명 가량을 충원해야 하며 향후 삼성자동차를 연산 40만대 규모의 공장으로 키우기 위해서는5천-1만명의 추가 충원이 필요할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이다.

25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자동차는 지난해 빅딜(대규모 사업교환)과 법정관리 사태에 휘말리면서 공장 가동이 중단돼 전체 인력 6천여명중 2천1백여명만이 잔류하고있고 2천4백여명이 삼성 계열사로 옮겼으며 1천5백여명이 퇴사했다.

잔류 인력도 대부분 생산직, 정비직으로 자동차 생산 및 판매에 필수적인 연구.개발(R&D), 영업, 기획, 관리 분야는 태부족인 상태다.

르노는 올 연말까지는 인력을 4천-5천명으로 늘려야 할 것으로 판단, 삼성측에 타 계열사 전보인력중 2천명이 삼성차로 돌아올 수 있도록 협조해줄 것을 요청해놓고 있다.

삼성 고위관계자는 "르노와 삼성차 채권단간 양.수도 계약이 체결된뒤 르노측이 공식적으로 제의해오면 희망자들이 삼성차로 옮길 수 있도록 배려할 방침"이라면서"이미 일부 인원이 자의로 삼성차에 복귀한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업계는 삼성차 출신 인력뿐만 아니라 기아사태, 대우사태로 회사를 떠나 자동차와 관련없는 업종에서 종사중인 인력들이 경력사원 모집에 대거 응할 가능성이 높은것으로 전망했다.

또 르노측이 좋은 조건을 제시하고 국내 시장 점유율을 높여 나갈 경우 현대.기아자동차에서도 오너 위주의 경영방식에 거부감을 가진 핵심 인력들이 옮길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업계는 예상했다.

업계 관계자는 "르노측이 자칫 무리한 `사람 빼내기'를 시도할 경우 과거 삼성차의 설립 당시와 마찬가지로 스카우트 파문이 일어날 수 있을 것"이라고 우려했다.

일부 업계 관계자는 "르노가 본사나 닛산에서 신차를 개발하고 삼성차를 생산기지로만 이용할 경우에는 연구.개발이나 기획 인력이 많이 필요하지 않을 것"이라면서 "인력 충원 계획을 보면 르노의 삼성차 활용방안이 드러날 것"이라고 분석했다.
(서울=연합뉴스) 박운영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