곽노현 2억 미스터리 … 공금 횡령? 개인 돈?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4면

곽노현 서울시교육감이 28일 교육청에서 기자회견을 마치고 청사를 나서고 있다. 곽 교육감은 “박명기 교수에게 2억원을 지원했다”고 밝혔다. [안성식 기자]

곽노현 교육감이 박명기 서울교대 교수에게 2억원을 지원한 사실을 시인했지만 돈의 출처를 밝히지 않아 의혹이 증폭되고 있다. 자청해 기자회견을 열고도 2억원에 관한 구체적 사실을 함구해 공금을 횡령한 돈이 아니냐는 가능성까지 제기되는 상황이다.

 곽 교육감은 사건의 핵심인 돈의 출처나 전달 경로, 차용증 여부 등을 묻는 기자들의 질문에 일절 답변하지 않고 황급히 회견장을 빠져나갔다. 오히려 미스터리만 부풀려 놓은 것이다. 의혹 중에서도 2억원을 어디에서 조달했는지가 초점이다. 현재로선 이 돈이 곽 교육감의 개인 돈인지, 서울시교육청 공금에서 횡령한 돈인지, 진보진영에서 지원받은 돈인지 알 수가 없다. 검찰은 모든 가능성을 열어 놓고 수사를 하고 있다.

<여기를 누르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곽 교육감이 교육감 자격으로 자유롭게 쓸 수 있는 업무추진비는 연간 1억3000만원 이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박 교수에게 준 2억원을 충당하기에는 크게 부족한 돈이다.

 개인 돈을 썼을 가능성도 제기된다. 검찰 조사에서처럼 박 교수에게 거금이 전달된 시점에 곽 교육감의 부인 정희정씨가 인출한 수천만원이 2억원 중 일부일 것이라는 추측이다. 그러나 곽 교육감의 자산이 주로 부동산에 집중돼 있어 일시에 2억원을 마련하는 것이 어려웠을 것이라는 지적도 있다. 지난 3월 공직자 재산공개에 따르면 곽 교육감의 총재산은 서울 용산의 주상복합 아파트(약 11억원), 경기도 일산의 아파트(4억4000여만원) 등 총15억9815만원이다. 예금 자산으로 9억여원이 있지만 빚이 9억5000여만원으로 더 많다. 지난해 선거비용 35억2000여만원을 보전받기 전까지는 총 자산이 -6억8000여만원이었다. 검찰이 횡령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고 있는 것도 이런 이유에서다.

 특히 곽 교육감이 박 교수에게 돈을 준 사실을 서둘러 시인한 이유에 대해서도 궁금증이 제기되고 있다. 검찰의 계좌추적과 관련자 소환 등 수사가 곽 교육감 자신을 향해 조여오자 이에 대한 압박감이 사실을 털어놓게 된 계기가 된 게 아니냐는 추측도 나오고 있다. 결국 곽 교육감은 돈의 성격을 ‘대가성’이 아닌 ‘선의’라고 강조했지만 돈의 출처를 밝혀야 자신의 주장에 대한 설득력을 얻을 수 있게 됐다.

윤석만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