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글로벌 아이

MB와 간 총리의 숨겨진 대화록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30면

서승욱
도쿄 특파원

서울에서 도쿄 특파원 부임을 준비하던 기자에게 평소 가깝던 취재원이 정상 외교와 관련된 에피소드를 들려줬다. 3월 동일본 대지진 직후 이명박 대통령과 간 나오토(菅直人) 일본 총리가 전화로 나눈 대화 중 한 대목이었다. 평소 입이 무겁던 이 취재원은 “일본인들을 어떻게 대할지 한 수 배우고 도쿄로 떠나라”며 이야기를 꺼냈다.

 통화는 이 대통령의 출장지인 아랍에미리트와 도쿄를 연결해 이뤄졌다. 당시 한국 외교부는 ‘대규모 구조대를 파견하고 싶다’는 뜻을 전했지만, 일본 정부의 반응은 “구조견 두 마리면 된다”였을 정도로 시큰둥했다. 신세 지기를 내켜 하지 않는 특유의 국민성에다, 한·일 관계의 미묘함, 자존심 문제까지 겹친 듯한 상황이었다.

 하지만 양국 외교부 레벨에서 서먹했던 분위기는 정상 간 통화에서 풀렸다. 일본인들의 기질을 감안한 이 대통령은 “돕고 싶다”는 직설화법 대신 우회적으로 이야기를 풀어나갔다. 그는 “일본에서 터진 재해는 지구상 어느 나라에서도 다 일어날 수 있다”고 운을 떼며 “내 생각엔 만약 한국에서 그런 일이 터지면 일본이 가장 먼저 한국을 도울 것 같은데 어떠냐. 그렇지 않으냐”고 간 총리에게 물었다. 그러자 간 총리는 “당연하다. 일본이 한국을 가장 먼저 돕는다”고 답할 수밖에 없었고, 이 대통령은 “그렇다면 이번엔 일본이 피해를 봤으니 우리 한국이 열심히 돕겠다”고 했다. 이 대목에서 개 두 마리에 불과했던 구조대 규모는 100여 명으로 불어났다.

 구조대 파견 논의가 일단락되자 간 총리는 대뜸 이 대통령에게 “후쿠시마 원전 사고는 러시아 체르노빌과 다르다”고 말했다고 한다. 원전 수출 강국 일본에 쏠린 여타 국가들의 우려를 불식시키고 싶은 간 총리의 속마음이 드러난 대목이다. 과거 현대건설 재직 시절 원전 사업에 참여했던 이 대통령은 “개인적으론 내가 더 (원전) 전문가인데 걱정 마시라. 일본과 체르노빌이 다른 건 내가 더 잘 안다”는 취지로 화답했고, 분위기는 더 훈훈해졌다는 것이다.

 기자에게 에피소드를 들려준 취재원은 대화를 부드럽게 풀어나간 이 대통령의 외교 화술과 무용담을 부각하고 싶었겠지만, 기자는 다른 곳에 더 주목했다. 민간·정부 간에 얽힌 문제들을 쉽게 해결할 수 있는 정상외교의 위력, 정상들의 의지에 따라 국가 간의 관계가 바뀔 수 있다는 점이었다. 기자는 현 정부 출범 때부터 3년간 청와대를 취재하면서 일본과의 미래지향적 관계 구축에 대한 이 대통령의 애착을 종종 느꼈다. 독도 문제로 조성된 긴장국면 속에서 발표된 8·15 경축사의 표현이 “일본은 미래세대에게 올바른 역사를 가르칠 책임이 있다”는 수준으로 비교적 점잖게 다듬어진 데엔 대통령의 의지도 반영됐을 것이다.

 간 총리에게서 바통을 넘겨받을 일본의 새 총리가 곧 선출된다. 양 손바닥을 마주쳐야 소리가 나듯 역사의 진실을 꿰뚫고, 한국민의 정서에 둔감치 않은 새 총리의 선출을 기대한다. 유력한 후보 중 한 사람이라는 노다 요시히코(野田佳彦) 재무상이 “야스쿠니 신사에 합사(合祀)된 A급 전범은 전쟁범죄자가 아니다”란 주장으로 물의를 일으키는 등 전망이 썩 밝아 보이진 않지만 말이다.

서승욱 도쿄 특파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