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수해사진 조작은 거액의 국제보험 노린 술수"

온라인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북한이 AP통신을 통해 전세계에 타전한 대동강변의 조작된 홍수사진은 국제 보험금을 타내기 위한 북한 당국의 술수라는 주장이 제기됐다. 자연재해나 사고 또는 대규모 인명피해가 발생했을 때를 대비해 북한이 가입한 국제재보험을 노린 것이라는 주장이다.

미국 자유아시아방송(RFA)은 한국 국가안보전략연구소 김광진 선임연구원의 말을 인용해 23일 이같이 보도했다.

AP통신은 북한 조선중앙통신으로부터 받은 물에 잠긴 평양 시내 모습을 전세계에 타전했다. 하지만 하룻만에 조작된 사실을 확인하고 삭제를 요청했다. 북한이 국제사회로부터 식량지원을 받기 위해 이런 일을 꾸민 것으로 보인다는 전문가들의 지적이 있었다.

하지만 김 선임연구원은 "조선국영 보험회사가 국제재보험 업무를 보고 있는데, 매년 수천만달러를 타내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이 중 2000만 달러 정도를 김정일 국방위원장에게 상납한다"는 것이다. 김 선임연구원은 "이같은 점으로 미뤄 이번 사진 조작 사건은 같은 범주에서 해석해야 한다"고 분석했다.

RFA에 따르면 북한은 2005년 7월 고려항공 소속 헬리콥터가 평양 인근의 창고에 추락해 그 곳에 보관돼 있던 식량, 의류, 의료품 등 구호물자가 불에 타자 고려항공에 보험금을 지불했다며 국제재보험사들에 보험금을 청구했다. 국제재보험사들은 추락사고가 사기라며 소송을 제기했지만 북한측과 계약할 때 '북한법에 따른다'는 조항이 있어 패소했다. 북한은 이 추락사건으로 3920만 유로(약 412억원)의 보험금을 타냈다.

김진희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