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용차 사적이용, 불필요한 행사 … 공직사회 잘못된 관행 뜯어고칠 것”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25면

대전시가 사소한 것이지만 만연돼 있는 공직사회 잘못된 관행을 없애는 등 행정쇄신을 선언하고 나섰다.

 염홍철(사진) 시장은 최근 특별 직장교육을 통해 “불필요한 행사 참여 횟수를 줄이는 등 시장부터 변할 것”이라며 “시장이 간담회 때 상석이나 큰 의자에 앉도록 하는 것도 권위적인 행태”라고 말했다.

 그는 “관용차량을 업무시간 외에 사용하지 말고 간부 부인이 관용차를 타서는 안 된다”며 “간부 부인들의 모임도 부인들을 계급화하는 행위”라며 자제를 당부했다.

 그는 또 “시장이든 간부든 기득권을 버리고 각종 공연장, 축구장 등에 전부 돈을 내고 입장해야하며, 사적인 편지는 우표값도 별도로 내야한다”며 변화를 촉구했다.

 염 시장은 “상급자를 접대하는 행위나 불필요한 보고서를 작성하느라 중요한 일을 놓쳐서 안 된다”며 “구청과의 관계에서도 우월적인 권위의식을 버려야 한다”고 꼬집었다.

 박 시장은 직원들의 효율적인 업무를 위해 담당업무를 평가하는 ‘자기업무 진단제’, ‘사무관 팀업무 진단제’, ‘시책 일몰제’ 등의 도입을 추진하기로 했다.

 염 시장은 직원들에게 현안 사업의 정당성을 시민들에게 적극적으로 알리는 자세도 주문했다. 그는 “도시철도 2호선과 같은 현안이 발생했을 때 공무원들이 이해관계자들을 설득하려는 노력이 부족하다”며 “담당자들이 직접 찾아가 설득하고 토론하는 ‘출장 브리핑’ 제도 등을 운영할 방침”이라고 설명했다.

 인사와 관련해서는 “연공은 물론 능력, 아이디어를 종합평가하는 ‘근평 서열’을 중시하겠다”며 “기피부서에서 열심히 일한 직원에 대한 발탁인사도 병행할 것”이라고 말했다.

 대전시 한 직원은 시장이 직원들에게 “작지만 소중한 변화로 새바람을 일으켜 보자는 차원에서 행정쇄신을 당부한 것”이라고 말했다.

서형식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