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U 'e유럽 구축 박차'

중앙일보

입력

유럽연합(EU)집행위원회는 지난 9일 EU의 사업과 교육,고용 확충을 위한 인터넷 활용기회가 마련돼야 한다고 주장하며 `e유럽''의 조속한 구축을 촉구했다.

에리키 리카넨 정보기술담당 집행위원은 기자회견을 통해 "유럽의 사업부문이 경쟁력을 키우기 위해서는 온라인 활용이 시급하다"면서 "더 폭넓은 관련설비 (e-facilities) 이용을 위해 접속비를 대폭 삭감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와는 별도로 비비안 레딩 교육문화담당 집행위원은 유럽에서의 정보기술의 차이를 극복하기 위해 야심찬 "e-러닝"(e-learning) 계획안을 마련했다. 레딩은 EU의 모든 학교들이 오는 2001년까지 인터넷과 멀티미디어 재원을 확보할수 있으며 교사들은 오는 2001년까지 이와 관련한 기술(e-skills)을 익힐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오는 23일 리스본에서 열리는 EU 정상회담에서는 유럽경제의 경쟁력 강화가 주요 이슈로 채택될 예정이다. 리카넨집행위원은 더욱 치열해지는 사이버 경쟁에서 EU가 미국을 따라잡기 위해서는 상업 부문의 디지털기술 이용 확대 등 몇가지 전제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영역망을 확장하기 위해 인터넷을 사용하지 않는 사업체는 갈 수록 경쟁이 격화되고 있는 세계시장에서 살아남을 수 없을 것이라고 그는 경고했다.

집행위원회는 이와 함께 통신 업체들이 유럽에서의 인터넷 이용을 확산시키기위해 접속비용을 줄여줄 수 있도록 촉구했다.

전문가들은 미국은 전체 가정의 40%가 인터넷을 활용하는데 비해 유럽은 12%에지나지 않는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통계에 따르면 유럽은 오는 2002년 인턴넷 정보기술분야의 기술자가 약 160만명이나 부족한 사태를 맞이할 것으로 보인다.

레딩집행위원은 "유럽의 모든 교육 현장에서 인터넷 사용을 보편화시켜야 한다"면서 "디지털 능력이야말로 모든 유럽 젊은이들이 갖춰야 할 것 가운데 하나"라고 강조했다.

[브뤼셀 dpa=연합]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