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열린 광장

농활도 시대 맞춰 변해야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33면

전성군
농협안성교육원 교수

여름방학을 맞아 대학생들의 농활(農活) 준비가 한창이다. 농활의 전통은 1960년대 후반 이후 활발해진 대학생들의 ‘농촌봉사활동’에서 찾을 수 있다. 이 전통은 70년대 후반에 이르면서 베푸는 느낌을 주는 ‘봉사’라는 말을 빼고 그냥 ‘농촌공헌활동’이란 사회운동적인 개념이 강화된 형태로 계승됐다. 80년대에 이르러 학생운동의 대중화에 중요한 초석이 됐다. 하지만 최근에는 취업 준비와 아르바이트 등으로 농촌봉사활동에 참여하는 대학생 수가 해마다 줄고 있다.

 이제는 농활에도 창의력이 필요하다. 창조운동이 도입돼야 한다. 창조운동이란 다양한 농촌봉사활동으로 농활 사이에 문활(문화교류), 의활(의료봉사), 효활(자식 노릇 하기), 공활(공학지식 전수) 등을 함께 펼쳐가는 새로운 농활 모델 방식이다. 순천향대 의대생들의 경우 방학을 이용해 정기적으로 농촌을 찾아 100여 항목의 문진표를 작성해 밤늦게까지 건강 상담을 하고 당뇨·혈압 등을 체크한다. 여기에다 마을 주민들의 머리를 염색해 주고 테이핑 요법으로 팔과 다리를 치료해 주는 한편 안마와 발마사지 봉사를 통해 ‘효활’을 실천한다.

  농활은 공과대학생에게도 필요하다. 대학에서 배운 공학 지식을 바탕으로 경운기·트랙터 등 농기계를 수리하고 노후화된 농가의 전기배선 시설을 고쳐주는 실습장 역할도 한다. 이런 프로그램처럼 농활의 참된 의미를 되새기고, 학과마다의 특성을 살려낼 수 있는 농촌봉사활동으로의 영역을 넓히는 것이 좋겠다. 농활도 하나의 창조운동이다. 과거 농촌봉사활동 위주의 전통적 농활에서 벗어나 다양성과 지속성을 추구하는 혼합 방식이 농활의 경쟁력을 보장해 주는 새로운 모델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전성군 농협안성교육원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