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보조식품 유통마진 일반식품의 3배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건강보조식품(건식)의 유통마진이 일반식품류의 3배인 30∼60% 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건식을 먹은 후 `효과를 보았다'는 경우는 22.0%에 불과하고, 77.7%가 건식의 가격이 비싸다고 느끼는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정기혜책임연구원과 김정근연구원은 2일 이같은 내용의 `건강보조식품의 유통 및 가격체계 개선'이라는 보고서를 내놓았다.

정 연구원 등은 498명의 소비자와 건강보조식품 생산업체 5곳, 판매업체 15곳을 대상으로 면접조사 등을 실시한 결과를 토대로 이 보고서를 작성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건식 판매는 인건비가 많이 소요되는 방문 및 다단계판매에 주로 의존, 유통이윤이 일반식품류는 10∼20%인데 비해 30∼60%로 높아 가격상승의 요인이 되는 것으로 지적됐다.

현재 건식판매는 방문 및 다단계 등 무점포판매 방식이 70%에 달하며 전문점 판매는 8%에 불과하다. 특히 피라미드 형태의 다단계판매에서는 최종소비자 가격의 60% 가량이 판매원에게 분배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또 백화점 등 최종판매점의 이윤비율도 생식품류는 10%, 가공식품류는 15∼20% 인 데 비해 건식은 30∼40%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원료의 80%를 수입에 의존하는 것도 가격상승 요인으로 지적됐다.

한편 소비자들 중 건식 섭취후 `효과를 보았다'는 응답은 22.0%에 그쳤으며 건식을 구입하지 않는 이유를 묻는 질문에는 76.1%가 `효능을 믿을 수 없어서'라고 대답했다.

77.7%는 건식의 가격이 비싸다고 응답했으며 응답자의 78.2%가 `유통이윤의 폭리' 가 그 원인이라고 답했다.

이밖에 응답자의 54.6%는 현재 건식 표시광고로는 제품에 대한 올바른 정보를 얻을 수 없으며, 34.6%는 이런 점이 건식구매에 있어 가장 불편한 요인이라고 답변했다.

정 연구원은 "건식의 유통체계가 전문점 체제로 변해야 유통단계가 축소되고 유통이윤이 줄 수 있다"며 "정부는 건식에 대한 광고도 좀 더 자유롭게 할 수 있도록 허용해 소비자들에게 선택의 기회를 주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서울=연합]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