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자부, 국제호환형 전자화폐 개발 추진

중앙일보

입력

인터넷 상에서 상품 주문과 동시에 대금을 결제할 수 있는 국제호환형 전자화폐가 국내 기술로 상용 개발된다.

산업자원부는 한국IC카드 연구조합 주관으로 총 24개 기관이 참여하는 컨소시엄을 통해 이달부터 "IC(집적회로) 카드방식의 개방형 전자화폐 시스템'' 개발을 이달부터 추진한다고 25일 밝혔다.

인터넷 대금결제 형태가 지금까지는 제품을 구매한 후 대금은 은행에서 무통장으로 입금하는 ''반쪽'' 전자상거래 형태였으나 새로운 전자화폐가 개발되면 인터넷으로 주문과 결제가 가능해지고 한 장의 카드로 선불.직불.신용카드 등 다양한 대금결제가 가능해질 것이라고 산자부는 설명했다.

새로 개발되는 전자화폐 시스템은 IC칩 내장 카드에 은행예금의 일정액을 저장하고 물품구매때 저장금액을 판매자의 단말기 등으로 이전시키는 결제수단이다.

카드발행기관이 전자화폐인 전자지갑을 고객에게 발급하면 고객이 ATM단말기와 은행창구, PC, 전화기 등을 사용, 자신의 예금계좌로부터 전자지갑으로 화폐가치를 이전하고 이를 물품구매에 사용하면 된다.

물품을 구매할 때는 판매자의 POS(Point of Sales) 단말기나 인터넷 전자상거래의 경우 PC 등으로 대금을 지불할 수 있으며 지불과정에서는 사용자 확인을 위해 개인 비밀번호를 확인하게 된다.

이 사업은 정부 지원금 102억원 등 총 225억원이 투입돼 2004년 9월 완료 예정이며 한국IC카드연구조합이 전체 사업을 총괄하고 효성, 경덕전자, 마니네트웍이 세부사업을 주관하며 BC카드 등 16개 기업과 3개 대학이 참여한다.

한편 한국금융결제원은 18개 은행과 7개 신용카드사를 발행기관으로 한 한국형 전자화폐(K-Cash) 시스템을 개발, 최근 시연회를 갖고 시범사업을 추진중이다.

K-Cash는 1장당 저장한도가 20만원으로 제한돼 있으며 오프라인과 선불카드 형태로 운영되고 사용범위도 국내로 한정되는데 반해 산자부가 개발을 추진중인 개방형 전자화폐는 선불.직불.신용카드는 물론 전자상거래에도 활용되며 국내외에서 모두 사용할 수 있는 차이가 있다고 산자부는 밝혔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