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시장·부군수 자리 '상한가'

중앙일보

입력

공무원 인사를 앞두고 지자체의 부단체장인 부시장·부군수 자리가 상한가를 치고 있다.자리는 한정돼 있는데 희망자들이 “서로 가겠다”며 줄을 서고 있다. 이 때문에 관련자들에 대한 인신공격성 소문까지 난무하는 등 과열양상 조짐까지 보이고 있다.

현재 전북도 내에서 부단체장 물갈이가 예상되는 지역은 중앙으로 떠나는 전주시와 명퇴가 확정된 완주·임실·장수를 비롯해 7∼8곳.그러나 도 본청의 국·과장급 중 부시장·부군수 희망자는 20여명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런 가운데 일부에서는 단체장이 요구하는 인물과 도가 추천하는 사람이 서로 달라 팽팽한 줄다리기를 벌이고 있다.또 누구를 주는 대신 누구를 받으라는 등의 ‘트레이드’마저 되살아나고 있다.

과거 별 볼일 없는 한직으로 여기던 부단체장 자리가 이처럼 인기를 끄는 것은 기초단체의 위치에 비추어 책임이 상대적으로 덜 하기 때문으로 풀이되고 있다.

부군수에는 월 2백여만원의 판공비와 소나타급 차량이 제공된다.게다가 자치단체의 모든 지출계약을 책임지는 경리관의 역할을 맡고 있다.

특히 행정직만 부단체장을 맡을 수 있던 과거와 달리 지난해 지방공무원법이 바뀌어 건설·보건·농업 등 직종에 관계없이 4급 이상이면 누구나 가능하다.또 단체장에게 임용제청권이 주어지면서 서열에 관계없이 낙점만 받으면 된다.

이 때문에 일부에서는 “나를 부군수로 지명해달라”며 해당 지자체 군수에게 열띤 로비를 하고 있다.

한편 시장·군수들은 고향 사람을 쓸 경우 자칫 다음 선거에서 자신의 경쟁상대가 될 수도 있다는 판단 때문에 해당 지역출신을 기피하고 있다.

전북도 관계자는 “과열에 따른 부작용을 막고 지역발전을 꾀할 수 있는 새로운 인사제도를 마련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전주=장대석 기자 <dsjang@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