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ㆍ중층 구조 `강소주택` 내년 서울 도입

조인스랜드

입력

[박태희기자] 소형 아파트의 공간을 복층이나 중층 등 짜임새 있는 구조로 배치해 비교적 넓게 사용할 수 있는 `강소(强小)주택`이 내년 하반기 서울시내에 공급된다.

서울시는 1~2인 가구에 적합한 강소주택 모델을 개발해 보금자리주택 등 시가 공급하는 주택에 다양하게 적용할 예정이라고 14일 밝혔다.

강소주택은 통상 혼자 살거나 부부끼리만 생활하는 가정을 위한 50㎡ 이하의 소형주택에 `작은 집을 넓게 쓴다`는 개념을 접목시킨 주택을 의미한다.

소형주택에 대한 수요가 폭증하면서 좁은 공간을 짜임새 있게 쓸 수 있는 강소주택 모형을 시 차원에서 공식 개발해 현장에 적용하겠다는 취지다.

서울시는 내달 중 용역을 발주해 약 1년간 신개념 강소주택 모델을 개발할 예정이다.

서울시는 기존 소형주택의 공간을 더 활용할 수 있도록 여닫이문을 미닫이문으로, 고정식 가구를 이동식이나 수납형 또는 가변형으로 바꾸는 방안 등을 강소주택 모델로 적극 검토하고 있다.

일례로 침대를 벽장 안에 넣을 수 있는 구조로 만들어 잘 때만 꺼내 사용했다 다시 넣는 방식 등이다.

수평 공간이 좁은 만큼 단층 구조를 복층이나, 다락방 등을 활용할 수 있는 중층 구조로 바꾸는 방안 역시 강소주택 모델로 유력하게 검토되고 있다.

소형주택 공급의무비율 늘린다

서울시는 내년 상반기까지 모델 개발을 마치고 하반기부터 보금자리주택 등에 이 모델을 적용해 공급할 방침이다.

서울시는 앞서 2020년까지 시내에 전용면적 50㎡ 이하인 1∼2인 가구용 소형주택을 매년 3만채씩 총 30만채를 공급할 예정이라고 밝힌 바 있다.

서울시는 이를 위해 모든 주택 공급 지역 및 방식에 소형주택 공급 의무 비율을 늘리고, 민간 재개발·재건축 사업의 종세분·종상향 시 기준 용적률을 20% 높여주는 등 인센티브를 줄 방침이다.

도시환경정비사업 때 주거비율과 주택크기를 접목한 지원책을 제시하고, 역세권과 간선도로 교차지역 등 대중교통 이용이 편리한 지역을 중심으로 추진되는 고밀복합형 재정비 촉진지구에 사업을 추진할 때 소형주택이나 소형 장기전세주택(시프트)를 공급하는 방안도 추진한다.

<저작권자(c)중앙일보조인스랜드. 무단전제-재배포금지.>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