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시겸 온양문화원장 오락가락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02면

최근 김시겸 온양문화원장이 건강상의 이유를 들어 사의를 표명했다. 그러나 이후 며칠 만에 “없던 걸로 하자”며 이를 번복, 논란이 일고 있다.

 온양문화원에 따르면 김 원장은 11일 건강진단서가 첨부된 사직서를 정종호 부원장을 통해 사무국장에게 전달했다. 사무국은 16일 이 사직서를 수리했다.

 하지만 일부 온양문화원 인사들이 김 원장이 사직서를 제출한 것은 “각종 구설수에 휘말려 불가피한 선택을 한 것”이라는 주장을 제기하며, 사의 표명을 받아드릴 수 없다는 입장을 밝히면서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김 원장의 측근들은 비상대책위원회(이하 비대위)를 결성해 17일 1차 사퇴서 반환요구서를 제출했고, 긴급 이사회를 열었다. 29명 중 24명이 참가한 이날 이사회에서 이사들은 “김 원장이 임기 내 지역 문화발전에 적지 않은 기여를 했다. 명예로운 퇴진을 위해서라도 사직서를 반환하고 임기를 이어가야 한다”며 만장일치로 비대위의 손을 들어 주었다.

 하지만, 온양문화원 사무국의 입장은 다르다. 김 원장의 사직서는 16일 내부결제를 통해 이미 수리됐는데 이제 와서 없던 일로 하자는 것은 문화원 정관을 무시하는 처사라는 것이다. 이미 정관에 따라 부원장 가운데 가장 연장자인 김환주 부원장이 직무를 대행하는 것으로 매듭지었다는 설명이다.

 초선일 경우 재 추대를 통해 복직이 가능하지만 김 원장의 경우 재선돼 두 번째 임기가 진행되고 있는 가운데 사직서를 제출한 상황이라 재 추대도 불가능하다는 입장이다. 김 원장은 2006년 7월 온양문화원 5대 원장으로 취임해 4년간 문화원을 이끌어 왔으며, 지난해 5월 다시 선출 돼 7월1일부터 6대 원장으로 새로운 임기를 시작했다.

 박순동 온양문화원 사무국장은 “11일 사직서를 전달 받고 보관만 하고 있다가 시간을 더 이상 지체할 수 없어 결재처리를 하게 됐는데, 이제 와서 비공식적인 비대위를 결성해 사직서 반환을 요구하는 것은 받아들이기 어렵다”며 “이번 사태에 대해 상위기관인 한국문화원연합회에 유권해석을 맡긴 결과 문화원연합회로 부터 ‘사표수리가 된 상황에서는 반려가 안 된다’는 내용이 담긴 공문을 팩스로 받았다”고 설명했다.

 김 원장 때문에 문화원이 혼란을 빚기는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김 원장은 지난해 말 같은 사유로 문화원장 직을 그만두겠다고 해놓고 며칠 후 다시 사의표명을 철회했었다. 또한, 임기 내 몇 차례에 걸쳐 수천만원대 보조금을 개인 통장으로 입금시켜 사용한 사실이 드러나 아산시로부터 환수 조치되는 등 물의를 빚었다. 지난 4년 동안 문화원 직원이 15명이나 바뀐 것도 김 원장 운영 방식에 문제가 있었기 때문이라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이에 대해 김 원장은 “사의를 표명하긴 했지만 이사들의 반대가 심해 원장 직을 포기할 순 없을 것 같다. 유권해석이 어떻게 나오던 비대위의 결정에 따르겠다”며 사퇴의 뜻이 없음을 내비쳤다. 

장찬우·조영민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