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남고속철 분기점 논란…천안~공주안에 충북·대전·강원 반발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제4차 국토종합개발계획에 포함돼 올연말 최종 확정될 예정인 호남고속철도 노선을 둘러싸고 충남도와 대전.충북도 등 자치단체간 유치논쟁이 치열하다.

정부(건설교통부)는 지난달 확정한 국토종합개발계획(안)에 호남고속철도 노선을 경부선 천안에서 분기(分岐), 공주~논산을 연결하는 노선으로 잠정 확정했다. 이 계획에 대해 충남은 자신들의 입장이 반영됐다며 반기고 있다.

반면 경부선 충북 청원군 오송리를 분기점으로 공주 박정자~논산 노선을 채택하자고 주장해 왔던 대전시와 충북 등은 강력히 반발하고 있다. 여기에 전북 등 호남은 충남쪽을, 강원도는 충북쪽 입장을 지지하는 상황이다.

호남고속철도 오송기점 유치위원회는 오는 20일 청주시 상당구청 대강당에서 청주경실련.충북환경련 등 10여개 시민단체와 오송역 관철 대토론회를 열고 오송 유치를 위해 충북도민운동을 벌일 예정이다.

양측 주장은 다음과 같다.

◇ 충남.전남.전북〓경부선 천안지점에서 갈라 공주~논산을 거쳐 곧바로 호남으로 연결하면 오송을 분기점으로 할 때보다 20㎞(수송시간 11.5분)를 단축할 수 있다. 연간 2천3백억원의 운임과 기회비용이 절감된다.

대전.충북측 안대로 공주 박정자를 지날 경우 공주지역 4대 사적의 하나인 학봉리 도요지(陶窯地)는 물론 공암에 있는 충헌서원, 신도안의 민속문화재.동학사 등 불교문화재가 손상된다.

이와 함께 공암이나 박정자에 고속철도 역사(驛舍)가 건립되면 국립공원 계룡산 관통이 불가피해진다.

◇ 대전.충북.강원〓 '오송 노선' 은 호남~서울간 소요시간이 '공주 노선' 보다 3분쯤 더 걸리나 충북선.중앙선.태백선 등과 연계 이용이 가능해진다. 청주권과 영동.태백권 균형발전의 토대가 된다. 대전시와 강원도가 오송 노선을 지지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또 오송 역세권 인구(85만명)는 공주권(18만명)보다 4배 이상 많아 교통수요가 많고 건설구간 단축(천안~오송은 경부선 활용)으로 3천여억원의 공사비를 절감할 수 있다. 청주국제공항 개항으로 이용객 증가가 예상되므로 경제성도 오송 노선이 높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