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우사태후 해외증권발행 상반기의 `절반'

중앙일보

입력

대우사태 이후 국내기업의 해외증권 발행여건이 급격히 악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해외증권 발행규모가 국가신인도 상승 등에 힘입어 급증세를 보였던 상반기의 절반 수준으로 위축됐다.

26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 7월1일부터 이달 21일까지 기업의 해외증권 발행은 19억1천만달러로 월평균 4억8천만달러에 그쳤다.

이는 올 상반기 58억2천만달러로 월평균 9억7천만달러를 기록한 것에 비해 절반밖에 안되는 것이다.

국내주가 급락 등에 따른 시장여건 악화로 특히 주식예탁증서(DR) 발행이 크게 부진한 것으로 조사됐다.

DR 발행은 올 상반기 34억7천만달러에 달했으나 7월1일부터 10월21일까지는 겨우 6억달러만 성공했다.

기업들이 대우사태 이후 시장여건 악화로 시장상황 변동의 영향을 직접적으로받는 공모방식의 DR 발행보다는 사모방식으로 발행할 수도 있고 시장의 영향을 상대적으로 적게 받는 전환사채(CB)나 신주인수권부사채(BW) 발행을 선호하고 있기 때문이다.

앞으로도 대우그룹의 구조조정, 투신사의 유동성 위기 우려 등으로 금융시장의불안요인이 가시지 않고 있는데다 Y2K(컴퓨터 2000년 인식오류)문제 등으로 연말까지 해외증권 발행여건이 개선되기는 어려울 것으로 예상된다.

12월 들어서면 Y2K 문제로 해외 펀드들이 채권매수를 기피할 것으로 예상되는데다 최근 아시아지역 투자한도 소진으로 펀드들의 투자여력이 감소하고 있고 11월말 펀드별 투자실적평가를 앞두고 투자위험도가 높은 아시아채권 매수를 확대하지는않을 것이라는 것이 기업 국제금융담당자들의 분석이다.

한은은 따라서 금년말까지 담배인삼공사(11월중 9억5천만달러)를 제외한 다른기업들의 DR 발행계획이 성사되기는 상당히 어려울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서울=연합]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