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업계 'LPG 사용제한 철폐, 원칙 동의하나 세부정책 필요'

중앙일보

입력

레저용 차량(RV)의 액화석유가스(LPG) 사용제한을 없애는 대신 LPG와 경유값을 올려 왜곡된 연료가격 구조를 개선하겠다는 정부 방침에 대해 자동차업계는 "원칙적으로 동의하나 LPG 가격의 급격한 인상은 안된다"고주장했다.

강철구 자동차공업협회 부장은 26일 오후 산업자원부 주최로 에너지경제연구원에서 열린 `자동차 LPG 사용규제 개선방안' 공청회에서 "7-10인승 승합차를 내년에도 계속 생산토록 허용하는 정부 방침에 동의한다"고 밝혔다.

강 부장은 "그러나 유류가격구조 개편이 산업에 미치는 충격을 완화하고 소비자의 혼란을 방지하기 위해 LPG 가격의 급격한 인상은 바람직하지 않으며 단계적으로 가격을 올려야 한다"고 강조했다.

소비자단체 대표로 나온 교통문제 시민의 모임 박동환 소장은 "법보다 상식이 우선되고 국민이 납득할 만한 세부정책이 마련돼야 한다"고 말하고 "특정 계층이나 업체에 치우치지 않도록 버스, 택시, 장애인 등에 대한 지원대책도 구체적으로 발표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박 소장은 "정부 방침대로라면 앞으로 디젤 승용차 등이 나올텐테 여기에서 초래될 환경오염에 대한 대비책도 강구돼야 한다"고 말했다.

박심수 고려대 교수는 "지금까지 연료가격 왜곡으로 논란이 많았던 자동차 연료정책이 이번 정부 방침으로 대부분 해소될 것으로 전망된다"면서 "현명한 소비자 선택을 유도할 수 있는 에너지가격 구조개편이 이뤄져야 한다"고 밝혔다.

그는 "자동차산업정책은 국민들에게 많은 영향을 끼치는 만큼 산자부, 건설교통부, 환경부 등 관계부처와 긴밀한 협의를 거쳐 마련돼야 하고 제도보완을 위한 입법조치는 충분한 예고기간을 거쳐 신중하게 처리돼야 한다"고 언급했다.

권순영 한국 LPG협회 상무는 "유종별 가격구조 개편 때 LPG 가격인상은 가정.산업용을 제외하고 차량용에 국한시켜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으며 구익모 한국석유협회 상무는 "조기에 수송용 연료간 가격예시제를 시행, 합리적인 가격구조하에서 소비자들이 연료선택권을 갖도록 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산자부는 이날 공청회에서 지난 23일 관계부처 차관회의에서 합의한 정부안을 발표했다. [서울=연합]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