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KT 시대 온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경제 01면

“브릭스(BRICs) 다음은 ‘믹트(MIKT)’의 시대가 올 것이다.”

 골드먼삭스의 대표적인 이코노미스트 짐 오닐의 예언이다. 21일(현지시간) 미국 경제방송 CNBC에 따르면 오닐은 최근 브라질·러시아·인도·중국을 가리키는 브릭스 대신 멕시코·인도네시아·한국·터키의 첫 글자를 딴 믹트가 새로운 세계경제의 성장엔진으로 부상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는 2001년 ‘세계는 더 강한 브릭스를 고대한다’라는 보고서에서 브릭스라는 용어를 처음 만든 주인공이다. 오닐은 브릭스와 함께 넥스트 11개국(N11)이 앞으로 세계경제 성장을 이끌어갈 것이라고 말한 바 있다. 그런데 이번에 N11 중에서 믹트 4개국을 따로 뽑아 브릭스와 함께 ‘성장경제’라는 범주에 새로 포함시켰다. N11의 나머지 국가는 높은 성장률을 보이겠지만 세계경제를 이끌어가기엔 역부족인 ‘신흥경제’로 분류했다. 신흥경제는 여전히 주요 7개국(G7)과 성장경제 8개국 경제에 의존할 수밖에 없다는 이유에서다. 그는 성장경제 중에서도 한국은 향후 10년 안에 국내총생산(GDP) 기준 세계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상위 10위 안에 들게 될 것으로 내다본 바 있다.

 또 오닐은 내년 미국 주가가 20% 오를 것이라고 예상했다. 그는 이번 주 내놓은 보고서에서 “미국 경제성장률이 내년 3.4%, 2012년 3.8%로 점차 높아질 것”이라며 “이 같은 성장세는 두 자릿수에 가까운 실업률을 떨어뜨리게 하기에 충분한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이 같은 경제회복 덕에 내년은 ‘미국의 해’가 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오닐은 골드먼삭스 글로벌 경제와 원자재 상품 및 전략 리서치 부문을 총괄하고 있으며 최근 골드먼삭스글로벌자산운용 회장에 취임했다.

뉴욕=정경민 특파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