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안함 때 국론 분열이 연평도 공격 부추겨”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7면

한국자유총연맹 회원들이 29일 서울 효자동 주한 중국대사관 앞에서 ‘북한의 연평도 공격’에도 6자 회담을 제안한 중국 정부를 규탄하고 있다. [오종택 기자]


“천안함 사건을 둘러싼 우리 사회의 국론 분열이 북한의 연평도 공격을 부추겼다”는 분석이 나왔다.

 전성훈 통일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29일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에서 바른사회시민회의 주최로 열린 ‘북한의 무력 도발 사태’ 긴급 토론회에서 “북한이 강성대국의 원년으로 삼은 2012년까지 몇 차례 추가 도발이 예상된다”며 이같이 밝혔다.

 전 위원은 “북한 정권은 권력 승계 과정에서 내부의 마찰과 반발을 억누르기 위해 남한을 외부의 적으로 삼고 대결을 조장하고 있다”며 “민간인까지 공격한 것은 한국 사회에 전쟁의 공포감과 북한 정권에 대한 두려움을 확산시켜 국민과 정부의 기를 꺾고 굴복시키려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특히 “김일성이 남한 내 좌익세력을 믿고 6·25 남침을 강행했듯이, 천안함 사건 때의 국론 분열이 북한 도발을 부추긴 큰 요인”이라고 지적했다. “북한 정권은 우리 정부와 국민을 협박해 2012년 대선에서 자신의 입맛에 맞는 남한 정부가 들어서도록 함으로써 권력 승계를 확실히 하려 할 것”이란 설명이다.

 또 다른 토론자로 나선 손광주 데일리 NK 편집인은 “북한의 2300만 주민이 주권의식을 갖도록 사상전을 벌여야 할 때”라며 “주민들이 시장, 민주주의, 인권에 대한 자각을 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고 주장했다. 손 편집인은 “미국과 중국의 협력 하에 북한에 ‘개혁·개방 정부’가 수립되게끔 유도하는 작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북한 공격’ 규탄 집회 이어져=이날도 북한의 연평도 공격에 대한 보수단체들의 규탄 집회가 계속됐다. 북한인권청년학생연대·바른사회대학생연합 등 보수 성향 대학생 단체 10곳은 오후 4시 서울 문래동 민주노동당 당사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북한의 무력 도발이 이어지고 있음에도 민노당은 국회 대북 결의안에 집단 기권하는 등 북한을 감싸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들은 청계광장으로 이동해 ‘햇볕정책 철회를 위한 10만인 서명운동’을 벌였다.

 상이군경회, 전몰군경유족회, 전몰군경미망인회, 재일학도의용군동지회 등 회원 5000여 명과 북한자유연맹 회원 40여 명도 이날 각각 규탄 대회를 열고 정부의 강력한 대응을 촉구했다.

북한 관련 시민단체인 반인도범죄조사위원회는 기자회견을 열고 북한의 김정일과 김정은을 네덜란드 헤이그의 국제형사재판소(ICC)에 고발하겠다고 밝혔다. 위원회는 “민간인에 대한 고의적 공격은 로마 규약에 저촉되는 범죄로 ICC의 재판 대상”이라고 했다.

글=김효은 기자
사진=오종택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