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우 7개사, 이달말까지 계열분리 방안 확정

중앙일보

입력

대우 워크아웃(기업개선작업) 대상 계열사중 조기 독자 경영정상화가 가능한 대우전자와 대우중공업 등 7개사의 계열.사업분리 및 워크아웃 방안이 이달말까지 확정된다.

또 대우자동차와 ㈜대우 등 5개사는 오는 11월6일까지 워크아웃 방안을 확정한다.

제일은행을 비롯한 6개 전담은행은 4일 오전 명동 은행연합회 2층 대회의실에서이같은 내용을 담은 대우계열사의 워크아웃(기업개선작업) 추진현황과 향후 일정을발표했다.

이달말까지 독자 경영정상화를 위한 워크아웃 세부계획이 나오는 계열사는 대우전자, 대우중공업, 대우통신, 오리온전기, 대우전자부품, 쌍용자동차, 경남기업 등7개사다.

대우전자는 계열사 지분(7.5%)을 채권단이 선인수.후정산 방식으로 인수해 계열분리후 워크아웃 세부계획을 수립하기로 했다.

대우중공업은 조선.기계.잔존사업부문 등 3개사로 사업분리후 각 사업부문별로워크아웃 플랜을 세운다.

대우통신은 TDX 부문 등의 사업분리를 포함한 워크아웃 세부계획을 만들고 오리온전기는 이달말까지 계열분리를 포함한 워크아웃 세부계획을 확정한후 오는 12월까지 매각을 추진한다.

대우전자부품은 대우전자 처리와 연계해 이달중 계열분리후 주식을 매각하며 경남기업은 산업합리화 여신 상환문제 등 계열사간 자금대차관계를 조기 해소해 이달중 워크아웃 세부계획을 세운다.

쌍용자동차는 당초 대우자동차와 합병할 계획이었으나 현 상태에서 이달중 독자적인 워크아웃 세부계획을 수립한 후 제3자 매각을 추진하기로 했다.

한편 오는 11월6일까지 워크아웃 세부계획을 세우기로 한 대우자동차 등 5개사에 대해서는 ㈜대우의 경우 실사 종료이전이라도 건설부문과 무역부문을 사업분리한다.

또 대우자동차는 GM과의 매각협상과 관계없이 실사를 앞당겨 워크아웃 세부계획을 수립하고 대우차판매, 대우캐피탈, 다이너스클럽 코리아 등은 대우차 워크아웃세부계획과 연계해 처리방침을 수립한다.

채권단은 워크아웃 방안을 수립할때 주주와 경영진, 채권단간의 손실분담을 명확히 규정화하기로 했다. [서울=연합]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