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 물가 통제 나서 … 금리 인상 임박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경제 02면

17일 중국 상하이에 있는 시장에서 손님이 채소를 사고 거스름돈을 받고 있다. 중국 상무부는 전날 주요 도시의 18개 채소류 도매가격이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62% 올랐다고 밝혔다. [상하이 로이터=연합뉴스]

중국 정부가 필요하다면 물가 안정을 위해 임시로 직접 상품 가격에 개입할 수 있다는 입장을 밝혔다. 식료품·석유류를 비롯한 주요 제품의 가격이 급등하면서 물가 불안감이 고조되자 강력한 물가 억제 의지를 밝힌 것이다. 이에 따라 지난달에 이어 이르면 19일께 추가로 금리를 인상할 것이란 관측이 인민은행 주변에서 나돌고 있다.

 신화통신은 18일 “중국 국무원(중앙정부)이 원자바오(溫家寶) 총리 주재로 17일 상무위원회를 열고 물가 안정방안을 논의해 물가 안정을 위해 4개 대책을 발표했다”고 보도했다. 이날 회의에서 국무원은 ‘필요하다면 임시로’라는 조건을 달아 “생필품과 생산 원료 가격에 대해 개입하겠다”고 밝혔다. 물가 상황이 계속 악화하면 상품 가격에 대한 직접 통제에 나서겠다는 의지를 이례적으로 강하게 천명한 것이다. 원 총리를 비롯해 이날 회의 참석자들은 “안정적 시장 가격 유지의 중요성과 긴박성을 인식해야 하며 적기에 물가 관리를 위한 강력한 조치를 시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중국 정부가 강력한 물가 안정 의지를 밝힌 것은 최근 발표된 10월 물가가 25개월 만에 최고치인 4.4% 뛴 데다 11월 들어서도 주요 도시 채소값이 지난해 동기보다 62.4% 오를 정도로 물가 불안이 고조되기 때문이다. 미국의 2차 양적 완화에 따라 해외 자금이 유입되면서 인플레 압력이 커지는 것도 중국 정부는 우려하고 있다.

 인민은행의 추가 금리 인상 가능성에 대해 인민은행 통화정책위원(한국의 금통위원에 해당)인 저우치런(周其仁) 베이징대 교수는 “대규모 유동성과 상품 부족이 인플레의 주요 원인”이라며 “금리 인상만으로는 상황을 변화시키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베이징=장세정 특파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