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말 바루기] ‘가팔랐다’일까, ‘가파랐다’일까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경제 19면

치솟던 배추값은 진정세를 보이고 있으나 서민들이 체험하는 물가는 가파르게 상승하고 있다고 한다. “배추값의 영향으로 물가 상승세가 가팔랐다”와 같이 표현하는 경우 ‘가팔랐다’인지, ‘가파랐다’인지 헷갈린다.

다음 문제부터 풀어 보자.

㉠ 산이 가팔라서/가파라서 오르기 힘들다.

㉡ 가팔르고/가파르고 험한 언덕길을 올랐다.

㉢ 비탈길이 제법 가팔랐다/가파랐다.

㉠은 ‘가팔라서’, ㉡은 ‘가파르고’, ㉢은 ‘가팔랐다’가 정답. ‘ㄹ’이 붙기도 하고 없어지기도 하는 이유는 ‘가파르다’가 ‘르 불규칙 활용 용언’이기 때문이다. ‘르 불규칙 활용 용언’은 모음으로 시작되는 어미를 만나면 어간의 ‘으’가 탈락하고 ‘ㄹ’이 덧붙는다.

㉠은 ‘가파르+아(모음)’의 형태이므로 ‘르’의 ‘으’가 탈락하고 ‘ㄹ’이 덧붙어 ‘가팔라’가, ㉡은 ‘가파르+고(자음)’의 형태이므로 ‘가파르고’가, ㉢은 ‘가파르+-았-(모음)+다’의 형태이므로 ‘가팔랐다’가 된다. 따라서 서두의 물가 상승세도 ‘가팔랐다’고 해야 한다.

김현정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