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수원 본사 경주 도심으로 가나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26면

경주시 서부동 성동시장 주변 KT빌딩에 임시 이전한 한국수력원자력 본사 사무실. 한수원은 지난 7월 서울에서 경주로 법인주소를 이전하고 직원 102명이 옮겨왔다. [한수원 제공]

한국수력원자력㈜ 본사가 경주 도심에 자리 잡을 수 있을까.

 경주시 감포읍·양남면 주민들이 양북면 장항리로 이전할 예정인 한국수력원자력㈜ 본사를 도심권으로 다시 옮기자는 청원을 내면서 그 결과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27일 경주시에 따르면 감포·양남 주민 대표들은 22일 최양식 경주시장을 만나 ‘한수원 본사 도심권 이전에 동의하며 그에 따른 동경주(감포·양남·양북) 발전을 염원하는 청원서’를 제출하고 반대급부를 요구했다.

 이들은 “방폐장이 지역에 들어서면 한수원과 다른 기업 등이 들어와 동경주가 크게 발전할 것으로 기대했으나 지금은 당초 약속보다 규모가 축소된 한수원 본사가 고작”이라며 “한수원 본사를 시민 모두가 원하는 곳으로 보내고 반대급부로 현실적으로 지역을 개발할 수 있는 사업으로 대체할 방안은 없는 지 검토해 달라”고 건의했다.

 이들 주민은 2006년 부지 선정 때는 양북면 주민과 함께 동경주에 한수원 본사가 와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와 관련 경주 도심위기대책 범시민연대 등은 27일 도심권 이전 공론화를 경주시에 촉구했다.

 문제는 한수원 본사의 이전 예정지인 양북 주민들이 청원에 동참하지 않은 점이다. 한수원은 180억원을 들여 양북면 장항리 부지를 매입한 상태다. 정연실 양북발전협의회장은 “이제 와서 도심 이전 운운은 말도 안된다”고 잘라 말했다.

 이에 따라 2006년 이후 논란을 거듭한 한수원 본사의 위치가 또다시 쟁점으로 떠오르고 있다. 최양식 경주시장은 “주민들이 청원한 만큼 이 문제를 진지하게 논의하겠다”고 밝혔다.

 경주에서는 장항리 한수원 이전 부지가 협소하고 시내권과 멀어 시너지효과가 없다는 이유로 도심권 이전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끊임없이 나왔다. 지난해 8월에는 이같은 논란을 매듭짓기 위해 경주시장과 국회의원, 시의회 의장, 한수원 사장 등 4인이 ‘당초 결정대로 이전을 추진한다’는 협약을 체결했다.

송의호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