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형생활주택 하반기 들어 급증

조인스랜드

입력

원룸, 다세대, 연립 등 저소득층을 위한 도시형 생활주택 건설이 활발한 것으로 조사됐다. 지난 7월부터 30가구 미만 도시형 생활주택의 건축허가를 허용하고 상업·준주거지역에서 상업시설과 복합 건설할 때도 사업승인이 아닌 건축허가를 내주는 등 관련 규제를 대폭 완화한 데 따른 것이다. 3일 국토해양부에 따르면 도시형 생활주택은 지난해 5월 도입된 뒤 인허가 물량이 지난해 1576가구, 올해 상반기 월평균 667가구에 그쳤으나 규제 완화 이후 7월 1162가구, 8월 1428가구 등으로 늘었다. 올 들어 1~8월 인허가된 6590가구를 유형별로 보면 1~2인 가구용 원룸형이 5547가구로 84.2%를 차지했고 단지형 다세대가 729가구(11.1%), 단지형 연립 등 기타가 314가구(4.7%)다.

30가구 미만 단지가 가장 많아

규모별로는 30가구 미만 1281가구(19.4%), 30~50가구 743가구(11.3%), 50~100가구 1874가구(28.4%), 100~149가구 2692가구(40.9%)로 나타났다. 지역별로 서울 2천460가구, 대전 729가구, 부산 726가구, 인천 628구가 등 대도시에 주로 건설되고 서울은 성북구(237가구), 관악구(206가구), 구로구(199가구), 동대문구(195가구) 등으로 도심 내 역세권, 대학교 주변, 산업단지 주변 등 임대 수요가 많은 지역에 중점적으로 지어지고 있다. 지금까지 준공된 도시형 생활주택은 706가구다. 국토부는 "원룸형(12~50㎡)이 주로 도심 내 임대주택으로 공급되고 건설기간도 6개월~1년으로 짧아 전·월세 가격 안정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