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2’ 환율 대충돌 이번엔 미국 반격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1면

환율을 둘러싼 미·중 갈등이 ‘전쟁’이란 표현이 어색하지 않을 수준으로 고조되고 있다. 미국 하원은 지난달 29일(현지시간) 환율을 조작한 혐의가 있는 국가의 수출품에 보복관세를 물릴 수 있도록 한 법안을 찬성 348표, 반대 79표로 가결했다. 민주당이 주도한 법안이지만 공화당 의원 99명도 찬성했다. <관계기사 6면>

골자는 미국과 무역하는 국가가 자국 통화가치를 인위적으로 낮춰 수출품의 가격 경쟁력을 높일 경우 이를 부당한 정부 보조금과 같은 불공정 무역행위로 간주해 제재하는 것이다. 중국 정부가 위안화 가치를 미국이 만족할 만큼 절상하지 않으면 중국 상품에 보복관세를 물리겠다는 뜻이 담겨 있다.

중국은 발끈했다. 중국 외교부 장위(姜瑜) 대변인은 30일 정례 브리핑에서 "우리는 미 하원의 환율 법안 통과에 대해 결연히 반대한다”고 논평했다. 장 대변인은 이어 "위안화 환율을 핑계로 중국에 대해 보호무역주의를 펴는 것은 양국 경제무역 관계를 심하게 훼손하고 세계 경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비판했다.

위안화 절상 속도를 둘러싼 양국의 갈등은 최근 상대국 수출품에 반덤핑관세를 주고받는 등 국지적인 무역 갈등으로 비화돼 왔다. 대결 양상은 11월 서울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로도 이어질 전망이다.

법안이 법률로 확정되려면 아직 절차가 남아 있다. 상원은 11월 중간선거 이후에나 법안을 심의할 예정이다. 오바마 대통령은 법안에 대한 입장을 아직 밝히지 않은 상태다.

뉴욕=정경민 특파원, 베이징=장세정 특파원

ADVERTISEMENT
ADVERTISEMENT